캔·투명페트병 회수보상제 '누이 좋고 매부 좋고'
입력 : 2024. 02. 08(목) 15:00수정 : 2024. 02. 12(월) 12:14
백금탁 기자 haru@ihalla.com
가가
제주시, 지난해 종량제봉투 97만매 보상 지급
41억 투입 재활용도움센터 15개소 신설 계획
41억 투입 재활용도움센터 15개소 신설 계획

2021년부터 시행한 캔·투명페트병 회수보상제가 해를 거듭할수록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속에 좋은 효과를 내고 있다.
[한라일보] 제주시의 '재활용가능자원 회수보상제' 시행에 따른 시민 참여도가 해를 거듭할수록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시는 재활용도움센터에서 추진 중인 재활용가능자원 회수보상제가 시민들의 분리배출 참여도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8일 밝혔다.
이 제도는 캔, 투명 페트병(음료병, 생수병 등), 폐건전지, 종이팩(우유팩, 종이컵, 멸균팩)을 합계 또는 단일품목으로 1㎏ 이상 배출 시 ㎏당 종량제 봉투(10ℓ) 1매, 1인 1일 최대 5매까지 보상하는 사업이다.
재활용 데이는 매주 일요일, 환경기념일 등이며 배출자는 배출 시 ㎏당 2매(최대 6매)를 보상받을 수 있다.
이 사업은 재활용품 분리 배출을 장려하기 위해 2021년도부터 추진되고 있다.
시는 지난해 종량제봉투(10ℓ) 97만655매를 27만8117명에게 보상 지급했다. 이는 전년 대비 3만1919매(3.4%)·8789명(3.26%)이 증가한 수치다.
시는 매년 증가추세에 있는 회수보상제를 지속하기 위해 올해 예산 1억원을 확보, 시민들의 분리배출 참여도 향상에 기여할 계획이다.
한편, 시는 시간과 요일의 제약 없이 생활폐기물을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재활용도움센터는 현재 85개소 운영 중이다. 올해에도 41억원을 투입해 공한지 등에 재활용도움센터 15개소(신규 14, 주차장 복층화 시설 내 1)를 신설 추진 중이다.
제주시는 재활용도움센터에서 추진 중인 재활용가능자원 회수보상제가 시민들의 분리배출 참여도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8일 밝혔다.
재활용 데이는 매주 일요일, 환경기념일 등이며 배출자는 배출 시 ㎏당 2매(최대 6매)를 보상받을 수 있다.
이 사업은 재활용품 분리 배출을 장려하기 위해 2021년도부터 추진되고 있다.
시는 지난해 종량제봉투(10ℓ) 97만655매를 27만8117명에게 보상 지급했다. 이는 전년 대비 3만1919매(3.4%)·8789명(3.26%)이 증가한 수치다.
시는 매년 증가추세에 있는 회수보상제를 지속하기 위해 올해 예산 1억원을 확보, 시민들의 분리배출 참여도 향상에 기여할 계획이다.
한편, 시는 시간과 요일의 제약 없이 생활폐기물을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재활용도움센터는 현재 85개소 운영 중이다. 올해에도 41억원을 투입해 공한지 등에 재활용도움센터 15개소(신규 14, 주차장 복층화 시설 내 1)를 신설 추진 중이다.
관련기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