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25시]청정 제주수산물 위기를 기회로 삼아야
입력 : 2013. 09. 10(화) 00:00
최근 청정제주 수산물의 이미지에 심각한 오점을 남기는 사건들이 발생해 주위를 안타깝게 하고 있다. 값싼 외국산 수산물을 제주산으로 둔갑시켜 판매한 수산물 명인이 해양경찰에 적발되는가 하면,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 미인증 수산물을 마치 인증을 받은 것처럼 광고·판매한 혐의로 도내 수협이 적발됐다.

예부터 맑고 깨끗한 제주 바다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은 제주를 대표하는 먹거리였다. 그러나 소비자와의 신뢰를 저버린 일부 업체의 부도덕한 상술에 그간 쌓아온 제주 수산물의 브랜드 가치가 땅에 떨어질 위기에 처해 있다. 한시적이기는 하나 매출감소 현상까지 보이면서 그 피해는 고스란히 제주산 수산물의 명성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는 정직한 지역 가공업체와 어업인들에게 전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최근 한·일 배타적경제수역(EEZ) 어업협상에서 도내 어민들의 요구사항인 갈치 연승 어획할당량 5000톤이 미반영 됐고, 향후 한·중 FTA 체결 등이 임박하면서 수산업계에는 우울한 소식이 더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힘들게 쌓아온 제주 수산물의 청정이미지를 지키기 위해 총력을 기울여도 모자랄 상황에서 이미지를 훼손하는 불미스런 사건이 연이어 발생해 씁쓸하기까지 하다. 특히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여파로 수산물 소비까지 위축되면서 어민들의 한숨만 깊어지고 있다.

위기가 곧 기회라는 말이 있다. 운이 없어 단속에 걸렸다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외국산 수산물의 유입 등 급변하는 수산환경 속에 그간 쌓아온 제주 수산물의 명성을 찾기 위한 범도민적 자정운동이 필요하다. 현재까지도 관행적인 불법과 편법을 이번 기회에 총체적으로 재정비해 모든 소비자가 제주산 수산물을 망설임 없이 신뢰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

소비자는 더욱 꼼꼼히 수산물을 구매하고, 수협 등 관련 업체와 단체는 더욱 엄격히 수산물을 가공하고, 지자체는 더욱 강화된 제주산 수산물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김명선 사회교육부 기자>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091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25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