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25시]제주테크노파크 환골탈태 절실
입력 : 2014. 02. 18(화) 00:00
제주테크노파크가 기준과 원칙을 무시한 주먹구구식 업무를 추진해온 것으로 드러나면서 충격을 주고 있다.

제주지역 향토자원의 고부가가치화와 지역산업 구조의 고도화, 일자리 창출 극대화를 위해 설립한 지역산업진흥기관인 제주테크노파크에 대한 제주자치도감사위원회의 감사 결과 부패와 비리가 만연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모 간부인 경우 무단이탈을 밥먹듯이 하고 출장여비를 과다지급받았을 뿐만 아니라 용역업체선정과 결과물 검수를 부적정하게 처리했다. 또 연구논문 및 특허출원을 하면서도 정당한 사유없이 주연구자를 연구실적에서 제외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승진인사도 4급 연구원으로 신규채용한 직원을 평가도 없이 8개월여만에 3급 부장 직무대리로 임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제주형 고부가가치 아열대 약용작물 생산을 위한 U-IT 생장관리 시스템개발 사업은 공모도 없이 사업대상자를 선정했다. 감사위는 총 37건의 문제점을 찾아내 기관경고와 함께 직원 20명에 대한 징계 및 훈계 등을 요구했다.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김일환 원장은 이번 사태에 책임을 느낀 일부 부서장들로부터 자발적인 사표를 받았고, 부패와 비리 차단을 위해 윤리경영 실천결의대회를 갖고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가기로 했다. 원장과 부서장 등 경영진 연봉 삭감, 직원 연봉 동결, 윤리경영을 위한 연구윤리위원회 활성화 등을 추진키로 했다. 임직원들은 감사를 계기로 지역사회 신뢰 회복을 위해 사즉생의 각오로 업무에 임하기로 했다.

하지만 내부 임직원들의 경영쇄신만으로는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든다. 제주자치도에서 제주테크노파크가 추진하고 있는 각종 연구사업들을 철저히 관리·감독을 할 수 있도록 구조적인 문제도 개선해야 한다. 전문경영인 체제 전환도 시급하다. 이런 후속작업들이 선행돼야만 제주테크노파크가 도민을 위한 연구 및 지원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고대로 정치경제부 차장>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091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25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