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25시]협치, 말은 좋은데…
입력 : 2014. 09. 16(화) 00:00
요즘 어딜 가나 '협치(協治)'가 대세다. 이 생소했던 단어가 어느 날 문득 밥상머리 대화에 올라왔다. 아마도 원희룡 제주도지사 덕이 아닌가 싶다.

원 지사는 도지사 예비후보시절부터 기존과는 다른 "관료가 주도하는 일반적인 행정이 아닌 민관이 수평적으로 함께하는 협치정치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권력은 나눌수록 커진다는 정신으로 도민이 참여하는 정치를 실천 하겠다"고도 약속했다.

민선 6기가 출범하면서 협치시대를 열겠다고 선언한 원 지사는 모든 정책 기조에 협치를 뒀다. 제주시장에 시민사회단체 출신 인사를 임명했던 것도 이런 맥락에서였다.

최근 원 지사는 도 산하 공기업과 출자·출연기관 등 6개 기관장의 사표를 수리했다. 이와 관련 원 지사는 "제주도 공기업 및 출자·출연기관은 도민 혈세로 존립하는 기관"이라며 "그런만큼 본래의 기능에 충실하고 업무로 평가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제 곧 제주특별자치도 산하 기관장 중 제주도개발공사와 제주에너지공사,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사장 등 이른바 '빅3'를 비롯 6개 기관장이 교체된다. 일각에선 선거공신 등 측근을 앉히기 위한 의도라는 의혹도 여전하다.

이러한 불신을 해소하는 길은 원 지사가 어떤 인사를 하는지에 달렸다. 원 지사가 협치를 전면에 내세운만큼 이제는 도정이 바뀔 때마다 생기는 출자·출연기관장의 거취 문제, 낙하산 인사, 관피아 논란을 해소시켜야 한다.

며칠 전 기자는 실소를 머금었다. 사연은 이랬다. 삼삼오오 모이면 협치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고 한다. 특히 각종 모임의 시들해진 분위기를 회원간 단합과 친목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으로 '협치위원장'을 새로운 임원진으로 구성하자며 농담조로 분위기를 이끈다는 것이다. 그 의도야 어떻든간에 협치는 이제 제주사회의 대세로 자리잡는 분위기다. 협치를 내세운 원 지사가 제주도 공기업 관련 인사를 어떻게 풀어나갈지 지켜볼 일이다. <이승철 편집부 차장>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091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25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