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25시]멀기만 한 귀농·귀촌정책
입력 : 2012. 07. 03(화) 00:00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이 최근 10년새 부쩍 커져가고 있다. 글로벌 금융 위기와 국내 경제 악화로 인한 생계형 일자리 수요 충족에 따른 것이다.

예전 흔한 말로 '(하던 일이) 안되면 농사나 짓지…'라는 의미는 이제는 귀농·귀촌 희망자에게는 맞닥뜨린 절박한 현실이다. 지난해 제주에 귀농·귀촌한 가구는 115가구(305명)다. 제주의 경우 2001년 56가구를 시작으로 매년 적게는 20여 가구에서 많게는 50여가구가 귀농·귀촌을 한 것과는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모두 경제난이나 지속가능한 새로운 직업을 찾기 위한 행보다.

하지만 행정은 이와는 달리 뒷걸음 치고 있다. 2010년 귀농인 지원 조례가 제정됐지만 아직까지 지원위원회의 구성 조차도 안됐다. 제주자치도 역시 본청에서 관할하던 귀농·귀촌정책을 도농업기술원으로 이관했다. 재원이나 인력, 귀농·귀촌인이 접근성 등을 고려할 때 역행하는 처사다. 제주자치도의 의지가 의문이다.

올해 초까지 지난 2년간 도내 귀농·귀촌을 취재한 적이 있다. 현장에서 그들이 느끼는 고충의 강도는 매우 심각하다. 귀촌하는 사람들은 고향을 찾아 농사를 짓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귀농인의 경우는 타지역에서 모든 것을 접고 제주에서 사활을 걸고 찾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만큼 절실하다.

최근 서귀포시가 이들에 대한 고충상담실을 운영했다. 50여명이 참가한 이번 상담 121건 가운데 감귤재배에 이어 밭작물재배, 부동산컨설팅, 귀농정책자금에 대한 문의가 잇따랐다.

취재 당시 그나마 귀농·귀촌에 성공한 그들의 고충도 이같은 역경을 거쳐야 했다. 지역 이기주의와 경계도 넘어야 했다. 실제 마을 사람들을 통해 토지를 구입했는데 맹지를 산 경우도 있고, 심지어는 특유의 부지런함으로 열심히 가꾼 밭 입구를 중장비로 막아 일명 '텃세'를 부리는 제보도 받은 바 있다.

그나마 행정시에서 이들에 대한 관심을 보이면서 고충상담실을 운영하며 나름 '갈증'을 해소시켜 주고 있다. 이들을 적극 유치하고 조기정착할 수 있도록 지역주민의 배려와 함께 행정에서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농어촌지역 학교 통·폐합 문제의 열쇠이기도 하다. <백금탁 편집부 차장>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091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25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