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25시]우리를 슬프게 하는 공공기관
입력 : 2012. 10. 23(화) 00:00
최근 공직사회의 '품행제로'가 가뜩이나 힘겨운 도민들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다. 올해 불어닥친 태풍 피해 복구도 채 가시기도 전에 공공기관에서 터져나온 각종 비리와 무능력함에 도민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가고 있다.

제주시 공무원의 잇단 공직비리에 이어 제주개발공사의 삼다수 무단반출 관리·감독 부실, 미국 호접란 농장 매각 등이 연일 제주사회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이에 따른 제주시의 수장인 김상오 시장과 개발공사 오재윤 사장이 기자회견을 갖고 도민에게 사과했다. 재발방지는 물론 수사결과에 따른 인사조치와 함께 책임론까지 거론했다.

불과 몇해전 서귀포시 소속 공무원의 도박사건과 도박장 운영 등이 당시 제주사회를 당혹케한데 이어 이번에는 제주시가 일을 냈다. 건축민원인들로부터 최근 3년간 수차례에 걸쳐 1억1000만원 상당의 금품을 수수한 무기계약직원이 최근 구속됐다. 또 읍사무소 무기계약직 여직원은 공금 6700만원을 제 돈을 쓰듯 유용했다. 빼돌린 돈은 없지만 엄연한 불법행위이다. 또 다른 읍사무소 상수도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 7명은 한파로 파손된 상수도 계량기 공사대금의 일부를 착복했다. 그야말로 공직자가 아닌 '공공의 적'들이다.

'신 봉이 김선달'로 축약된 삼다수 무단반출은 그야말로 감독·관리 부실을 의심케 하고 있다. 100억원 상당의 그 많은 물량이 도외로 빠져나갔는데도 이를 몰랐다는 것은 삼척동자에게 물어도 웃을 일이 아닐 수 없다. 도민의 공공재산이 사리사욕에 쓰여졌다는 것이 실로 자괴감마저 들게 하고 있다.

뿐만 아니다. 2000년 우근민 도정 당시 추진된 호접란 사업도 예산낭비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10여년간 책임론만 오가며 100억원대의 손실을 안긴 사업의 결과는 결국 '매각'이다. 철저한 현지조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사업추진이 실패작으로 끝을 맺게 됐다.

이 뿐인가. 음주사고는 물론 성매매 등 일부 공직자들의 행태는 전 공무원사회에도 허탈함만 안겨주고 있다.

요즘 술자리에서 종종 듣는 얘기다. "공무원만 일 제대로 해도 제주가 잘 산다"는 말이다. 이번 '위기'의 공직사회를 도민들로부터 신뢰를 되찾을 수 있는 '기회'로 잡기 위해서는 솜방망이 처벌이 아닌 강력한 조치만이 그 해법이다. <백금탁 편집부 차장>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091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25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