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25시]3자가 제주권역 재활병원 해법 제시하라
입력 : 2013. 02. 26(화) 00:00
가가
지난 2005년 정부의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제주권역 재활병원 개원이 안갯속을 걷고 있다.
제주자치도는 지난해 12월 27일 제주권역 재활병원 수탁자 선정 심의위원회를 열고 운영주체의 공신력, 재정능력, 재활관련 학과 운영실적 등 5개 항목을 중심으로 심사해 서귀포의료원을 선정했다.
이에 따라 서귀포의료원은 지난달중 제주자치도와 협약체결 후 하반기 개원을 목표로 제반절차를 진행키로 했다.
하지만 서귀포의료원이 제주권역 재활병원 수탁의료기관으로 지정된지 2개월이 다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본계약을 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 현재 재활병원 개원 준비를 위해 확보된 예산은 56억여원이지만 이 가운데 50억원은 의료 전산시설 확충과 내부 인테리어 비용으로 사용된다. 재활병원 개원준비를 위해선 더 많은 예산이 필요하지만 현재 만성적자에 허덕이고 있어 국민의 혈세를 추가로 투입하지 않는 한 자체 예산확보는 불가능하다.
특히 재활병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재활병원의 용도에 맞게 리모델링을 해야 하나 재활병원용과는 전혀 다르게 공사를 해 온 것으로 드러났고 재활병원 운영을 위한 전문팀도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문제 발생에 대해 제주권역재활병원 수탁자 선정 심의위원회와 의료연대본부 제주지역본부, 서귀포의료원은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심의위원회는 제주권역 재활병원의 적자 보전방안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지 못했고 의료연대본부 제주지역본부는 수탁자 선정에 앞서 재활병원 민간위탁은 특혜라고 비판하고 공모중단을 촉구했다. 서귀포의료원은 제주재활병원 운영으로 발생하는 적자를 도비나 국비를 통해 충당하려는 안일한 생각만 했다.
이제는 3자가 결자해지 차원에서 제주권역 재활병원 정상 개원을 위한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고대로 정치부 차장>
제주자치도는 지난해 12월 27일 제주권역 재활병원 수탁자 선정 심의위원회를 열고 운영주체의 공신력, 재정능력, 재활관련 학과 운영실적 등 5개 항목을 중심으로 심사해 서귀포의료원을 선정했다.
하지만 서귀포의료원이 제주권역 재활병원 수탁의료기관으로 지정된지 2개월이 다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본계약을 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 현재 재활병원 개원 준비를 위해 확보된 예산은 56억여원이지만 이 가운데 50억원은 의료 전산시설 확충과 내부 인테리어 비용으로 사용된다. 재활병원 개원준비를 위해선 더 많은 예산이 필요하지만 현재 만성적자에 허덕이고 있어 국민의 혈세를 추가로 투입하지 않는 한 자체 예산확보는 불가능하다.
특히 재활병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재활병원의 용도에 맞게 리모델링을 해야 하나 재활병원용과는 전혀 다르게 공사를 해 온 것으로 드러났고 재활병원 운영을 위한 전문팀도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문제 발생에 대해 제주권역재활병원 수탁자 선정 심의위원회와 의료연대본부 제주지역본부, 서귀포의료원은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심의위원회는 제주권역 재활병원의 적자 보전방안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지 못했고 의료연대본부 제주지역본부는 수탁자 선정에 앞서 재활병원 민간위탁은 특혜라고 비판하고 공모중단을 촉구했다. 서귀포의료원은 제주재활병원 운영으로 발생하는 적자를 도비나 국비를 통해 충당하려는 안일한 생각만 했다.
이제는 3자가 결자해지 차원에서 제주권역 재활병원 정상 개원을 위한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고대로 정치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