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살' 제주시 우당도서관 복합문화공간으로
입력 : 2023. 07. 27(목) 17:16수정 : 2023. 07. 27(목) 17:31
진선희기자 sunny@ihalla.com
가가
3층 열람실 두 개 공간으로 재배치 '제주관' 설치 등
1층 로비엔 실내 수직 정원 등 '생활밀착형 숲' 조성
1층 로비엔 실내 수직 정원 등 '생활밀착형 숲' 조성

우당도서관 3층 열람실 재배치 예상 이미지. 우당도서관 제공
[한라일보]개관 이후 한 세대를 넘긴 제주지역 공공도서관들이 복합문화공간으로 하나둘 변신하고 있다. 1984년 문을 연 제주시의 대표적 공공도서관인 우당도서관도 '시민 친화 복합문화공간'으로 새 단장한다.
27일 우당도서관에 따르면 도서관 리모델링은 3층 열람실 공간 재배치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3층에 있는 성인열람실, 남녀가 구분된 어린이·청소년실, 디지털열람실을 합쳐 2개로 나눈 뒤 문화와 휴식이 있는 열린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특히 제주 관련 자료가 모이는 가칭 '제주관'을 설치해 도서관의 특화 공간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 사업에는 총 12억 원이 투입된다.
이와 함께 1층 로비에는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는 생활밀착형 숲이 조성된다. 우당도서관 리모델링 사업과 별개로 제주시 공원녹지과에서 추진하는 것으로 5억 원을 들여 실내 수직 정원 등 책과 어울리는 초록 숲 경관을 만든다.
우당도서관은 리모델링 공사에 따라 다음 달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휴관한다. 도서관 측은 "과거 독서실형의 공공도서관에서 벗어나 시민들의 휴식처 같은 공간으로 바꾸기 위해 큰 폭의 리모델링을 진행한다"며 "방학 기간 청소년 이용자가 많은 점을 반영해 당초 8월 1일부터 예정했던 휴관 일정을 8월 21일로 늦추고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공사에 나설 계획"이라고 했다.
27일 우당도서관에 따르면 도서관 리모델링은 3층 열람실 공간 재배치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3층에 있는 성인열람실, 남녀가 구분된 어린이·청소년실, 디지털열람실을 합쳐 2개로 나눈 뒤 문화와 휴식이 있는 열린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특히 제주 관련 자료가 모이는 가칭 '제주관'을 설치해 도서관의 특화 공간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 사업에는 총 12억 원이 투입된다.
우당도서관은 리모델링 공사에 따라 다음 달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휴관한다. 도서관 측은 "과거 독서실형의 공공도서관에서 벗어나 시민들의 휴식처 같은 공간으로 바꾸기 위해 큰 폭의 리모델링을 진행한다"며 "방학 기간 청소년 이용자가 많은 점을 반영해 당초 8월 1일부터 예정했던 휴관 일정을 8월 21일로 늦추고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공사에 나설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