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산 '적색종 용과' 효능에 맛까지 잡을까
입력 : 2024. 05. 29(수) 13:54수정 : 2024. 05. 30(목) 10:23
김지은기자 jieun@ihalla.com
가가
제주도농기원, 품질 향상 재배 기술 연구
당도 높이는 적정 착과량·관수량 등 확립
당도 높이는 적정 착과량·관수량 등 확립

제주에서 재배 중인 '적색종 용과'. 사진=제주도농업기술원
[한라일보] 제주에서 생산되는 '적색종 용과'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재배 기술이 나왔다.
29일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현재 도내 용과 재배 면적은 4.9㏊이다. 지난 1999년 도입 이후 현재 16개 농가에서 재배 중이다. 이중 10개 농가가 적색종 용과를 재배하고 있으며, 재배 면적은 3.0ha이다.
적색종 용과는 과육에 베타시아닌을 함유하고 있어 색이 붉은 게 특징이다. 항산화, 심혈관 질환 감소 등의 효능도 있다. 고민은 '맛'이다. 단맛을 내는 유리당 조성이 다른 과일과 달라 소비자가 먹기엔 심심하고 맛 없게 느껴지는 문제가 있다고 제주도농업기술원은 설명했다.
이에 제주도농기원은 2022년부터 도내 농업인, 함덕농협, 기술원과의 협업 체계를 갖춰 감미 효과가 높은 용과를 안정 생산하기 위한 재배 기술을 연구해 왔다. 그 결과 가지마다의 적정 열매 수와 과실 비대 성숙기 관수량이 확립됐으며, 재배 매뉴얼 책자에 담겨 보급됐다.
연구 결과를 보면 적색종 용과의 알맞은 착과 수는 가지마다 1~2과로 조사됐다. 또 7~10월 과실 비대 성숙기에 소습관리를 하면 당도가 0.8브릭스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에선 열매 무게가 클수록 당도가 높아지는 것을 감안해 5~6월쯤 꽃봉오리가 나오는 시기에 꽃따기와 열매솎기로 320g 이상의 상품과를 생산해야 한다. 가지마다 1~2개의 열매를 맺히게 해 양분이 고르게 가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꽃이 피고 열매가 달리는 7월부터 10월까진 대략 14일 간격으로 10a 당 평균 4.6t 관수하는 것도 당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이현주 도농기원 농업연구사는 "도내 농가들이 적색종 용과 재배기술 확립을 기반으로 고품질 용과를 생산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다음채널 구독 바로가기
29일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현재 도내 용과 재배 면적은 4.9㏊이다. 지난 1999년 도입 이후 현재 16개 농가에서 재배 중이다. 이중 10개 농가가 적색종 용과를 재배하고 있으며, 재배 면적은 3.0ha이다.
이에 제주도농기원은 2022년부터 도내 농업인, 함덕농협, 기술원과의 협업 체계를 갖춰 감미 효과가 높은 용과를 안정 생산하기 위한 재배 기술을 연구해 왔다. 그 결과 가지마다의 적정 열매 수와 과실 비대 성숙기 관수량이 확립됐으며, 재배 매뉴얼 책자에 담겨 보급됐다.
연구 결과를 보면 적색종 용과의 알맞은 착과 수는 가지마다 1~2과로 조사됐다. 또 7~10월 과실 비대 성숙기에 소습관리를 하면 당도가 0.8브릭스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에선 열매 무게가 클수록 당도가 높아지는 것을 감안해 5~6월쯤 꽃봉오리가 나오는 시기에 꽃따기와 열매솎기로 320g 이상의 상품과를 생산해야 한다. 가지마다 1~2개의 열매를 맺히게 해 양분이 고르게 가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꽃이 피고 열매가 달리는 7월부터 10월까진 대략 14일 간격으로 10a 당 평균 4.6t 관수하는 것도 당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이현주 도농기원 농업연구사는 "도내 농가들이 적색종 용과 재배기술 확립을 기반으로 고품질 용과를 생산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다음채널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