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록담]전곡리에서 고산리유적을 보다
입력 : 2011. 04. 26(화) 00:00
고고학계에 모비우스 학설이란 것이 있다. 세계 구석기 문화를 유럽·아프리카는 아슐리안 석기문화, 동아시아는 그보다 기술적으로 덜 발달된 찍개문화로 이원화해서 설명하는 학설이다. 미국인 고고학자 H.모비우스의 학설에 따라 아시아 지역의 선사문화는 유럽이나 아프리카에 미치지 못한다는 서구 중심적인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전기구석기시대를 대표하는 아슐리안형 석기가 아시아에서는 발견될 수 없다고 보는 모비우스 학설은 1978년 경기도 전곡리에서 보기 좋게 깨졌다. 이곳에서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최초로 아슐리안형 주먹도끼가 발견돼 세계 고고학계를 놀라게 한 것이다. 그로부터 33년이 흐른 지금 전곡리 선사유적은 이제 세계적인 구석기박물관으로 탄생했다. 바로 어제 전곡선사박물관이 문을 연 것이다.

전곡리 구석기유적과는 시대적 의미가 다르겠지만 제주에도 그에 못지않은 고산리 신석기유적이 있다. 고산리유적은 동아시아 초기신석기문화의 발생과 관련 있다는 점에서 국내 고고학계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크다. 고산리유적은 기원전 8000년 전, 학자에 따라서는 1만년 전 무렵까지 보기도 한다. 고산리유적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강원도 양양 오산리유적 등지의 8000년 전(B.P) 정도가 신석기 상한이었다.

게다가 고산리유적은 후기구석기 말기와 초기신석기 사이의 문화양상을 보여주는 전환기 유적으로 학계의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고산리유적의 비교대상은 국내가 아닌 러시아 아무르강 유역이나 일본과 닿아있다는 점에서 국제적인 시각과 접근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산리유적의 중요성은 등한시해왔다. 전곡리유적의 경우는 발견 이후 박물관 개관 전까지 17차례에 걸친 발굴조사가 진행됐고, 수차례의 국제심포지엄과 매년 구석기문화축제를 벌여왔다. 박물관 건물은 국제설계 공모를 통해 건축됐다. 지속적인 연구조사와 투자가 있었기에 오늘날 세계적인 박물관으로 우뚝 서게 된 것이다. 그 중심에는 경기도의 든든한 지원과 경기문화재단과 전문가들의 열성이 있었다. 기자도 지난해 10월 막바지 공사가 한창인 전곡리 현장에서 관계자들의 자부심에 찬 얼굴과 보람을 느낄 수 있었다.

전곡리와 비교하면 고산리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다. 1987년 처음 알려진 이후 지금까지 꾸준한 연구조사는 물론 제대로 된 보고서 하나 나오지 못했다. 이제야 제주도와 제주시가 나서 관련 연구기관과 함께 발굴과 정비방안을 모색 중이다. 고산리유적 주변은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된 수월봉 등 자원이 풍부하다. 얼마든지 세계적인 자원으로 가꿔나갈 수 있는 인문·자연환경을 갖춘 곳이라는 점에서 제주도와 제주시의 관심과 정책적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회교육부장>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1 개)
이         름
이   메   일
8091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제주지킴이 04-26 03:22삭제
사회교육부장님의 글
고개를 끄덕이며 잘 읽었습니다.

무엇 하나 자체적으로 이루어내는 것 없는 이 땅, 이 풍토에서
모르긴 해도 큰 맘 먹고 이 글을 썼으리라 여깁니다

예를 들어 보지요

제주어를 세계무형유산(공식 명칭이 정확치 않습니다)에 등재를하려고
한국방송과 국립박물관 측에서 나섰지요
등재하려 애쓰는 대상이 "제주어"입니다
그런데 실상 제주도내 어느 단체도 개입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내 자식이 뛰어나게 똑똑합니다
그러나 나는 아무 생각이 없는 데
옆 집 아줌마가 동네방네 떠들고 다니며 자랑합니다
"저 집 자식 무지무지 똑똑하다고..."
이런 꼴 아닙니까?

강화도, 고창, 화순
세계문화유산에 고인돌로 등재된 마을들이지요
왜?
무슨 이유로 제주도는 빠졌을까요?
강화도보다 고창보다 하물며 화순보다
제주도에 산재한 고인돌의 학술적 가치가
또는 문화유산으로의 가치가 뒤떨어진답니까?
단순히 고인돌의 갯수로만 따진다면 혹 그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제주도에는 여타 지역에 없는
남방식 북방식 개석식 그러한 고인돌도 아닌
"제주도식" 고인돌이 있습니다
전 세계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제주도식 고인돌" 말입니다
저 같은 무지랭이 서민도 아는 사실을
제주도내 관련학과 교수,
쓸데 없이 기세등등한 문화재 위원들
문화재 담당 공무원들 이들이 이 사실을 몰라서 입을 다물고 있겠습니까?

역사적으로도
서학에 반대하여 동학이 일어났고
제주도내에서도
서학(천주교)에 반대하여 신축(1901년 이재수의 난)난이 일어났엇지요
그러나 제주도내 지식인들의 함구로
제주도내 지식인들의 비양심으로
역사 교과서에도 알려지지도 못한 이런 일들...

하긴 만장굴 등이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될 때에도
육지부 어느 기관에서 시작해 무르익어갈 무렵
나중에서야 뒷북치며 서명운동이다 뭐다 난리벙거지 치다
등재되고 나니 마치 도지사 자신의 공덕인 양
온통 도내 언론들 부추겨 떠들어 댔지요

그 분 물러가실 때 공덕비라도 세워드렸어야 했을껄...

고산리 선사 유적에 행정적 관심을 보이기 보다는
작은 마을 경노잔치에 잔치집 식케집에 얼굴을 디밀어야 하는
"제주도 수장"

도 행정에 무조건적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해야
자신들의 위상이 서는 양 착각하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의회"

1984년인가요?
어렵사리 생겼다가 슬그머니 사라진 제주대학교 고고학과

도대체 말로만 고양부 탐라국이 어쩌고 저쩌고
탐라국의 아무런 실체도 밝히지 못하는 우리들

탐라국 왕이 있었다면 그의 왕관이나 국새는 고사하고라도
하찮은 쪼가리 하나 발굴한 게 없는 우리들

4.3 유적지 발굴을 위해
전문 인력은 육지부에서 초빙을 해 와야 하는 이 현실
유적지 발굴 가능한 인력조차 양성하지 못한 우리들

이제라도 고고학과 하나 제대로 개설해
탐라국의 아주 작은 흔적이라도 연구 발굴 탐사해야 한다고
목소리 높여 외치는 교수 나부랭이 하나 없는 제주대학교 교수님들

법환동인가요
그 산꼭대기 자동차로도 오르기 힘겨운 그 꼭대기에
가짜 묘 만들어 놓고
"탐라왕자 묘"라고 팻말 세워 놓은 꼬라지
그게 아마도 고계, 고후, 고청 형제의 무덤인가요?

폐일언하고
대한민국 국립박물관 중
전시물이 가장 빈약한 "국립제주박물관"
고산리 유적 발굴터에 박물관 세우겠다는 도정
발굴터에 세워봤자 관람객 뜸할 것은 기정 사실
차라리 국립제주박물관에 고산리에서 출토한 유물들 전시해서
전국 최하위 국립제주박물관이나 활성화 시키는 게 최선이 아닐까요?

사회교육부장님
어느 기관에 사회교육부장님이신지는 모르겠으나
기왕지사 어려운 글 쓰셨으니
좀 더 심도 있고 실랄한 글 당부드립니다
님의 이런 지적이
제주도내에 어쭙지 않은 지식인층이라고 목에 깁스한 부류들을
자극할 단초가 되는 것이라 여겨집니다

시간도 꼭두 새벽
창문을 두드리는 거센 바람에 깨어나
님의 글을 읽다가 두서 없이 몇 자 적었습니다

중간중간 다소 거친 표현이 있었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ϴ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