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자살률 심각… 번개탄 판매·관리 규제 방안 마련돼야"
입력 : 2025. 11. 26(수) 15:02수정 : 2025. 11. 26(수) 15:15
진선희기자 sunny@ihalla.com
26일 도지사 직속 자살예방·생명존중위 회의서 제언
도, 자살률 감축 위해 우울증 선별 감사 강화 등 추진
26일 열린 도지사 직속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위원회 회의에서 오영훈 지사 등 참석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자살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 제주도 제공
[한라일보] 제주 지역 자살률을 낮추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번개탄 판매·관리 규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26일 제주도청에서 열린 제주도지사 직속 '2025년 제3차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위원회' 회의에서다.

이번 회의에서 제주도는 '전국 최고' 수준이라는 불명예를 안은 자살률과 자살 사망자 수를 2029년까지 30% 줄이기 위한 종합 대책을 제시했다. 청년·노인·취약 계층에 대한 생애주기별 자살 예방 대책을 마련하고 지역 사회 기반 안전망을 대폭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주요 내용으로 상담·사례 관리 인력 확충, 고위험군 등 우울증 선별 검사 강화, 정신응급의료센터 응급 병상 단계적 확충, 생명존중 안심마을 현행 7곳에서 22곳으로 확대, 경제·고용·정신건강을 아우르는 통합안전망 구축 등이 담겼다.

이와 함께 정신건강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무인 정신건강검진기를 내년까지 14대로 확대하고 찾아가는 마음안심버스 운영을 강화한다. 생명지킴이는 내년 2만 명 규모로 확충하고 생명존중문화 확산을 위한 지역밀착형 캠페인을 정례화하기로 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자살률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내놨다. 위원회 부위원장인 강지언 제주연강병원장은 "과거 농약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농촌 지역의 자살률이 높게 나타났지만 농약관리사업 이후에는 농촌 자살률이 획기적으로 낮아졌다"면서 "최근 자살 도구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번개탄에 대한 판매·관리 규제 방안과 함께 추락사 방지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최수영 제주대 간호대학 교수는 "실제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나 환경, 정신건강 문제 등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진행돼야 맞춤형 사례 관리 방안들이 효율적으로 나올 수 있다"고 밝혔다. 정영은 제주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자살예방 상담전화(109)와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1577-0199)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와 함께 생명지킴이 양성 우수 기관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마련된다면 많은 기관과 마을에서 생명지킴이 사업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에 대해 오영훈 지사는 "자살 문제를 제어하지 못한다면 도정의 존재 이유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심각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다"며 "회의에서 논의된 사안들은 다시 한번 점검해 도정에서 적극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라일보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143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정치/행정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