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25시]3선 교육감과 7월의 살풍경
입력 : 2010. 07. 29(목) 00:00
진선희기자
7월은 제주도교육청 사람들에게 뒤돌아보고 싶지 않은 달일 것이다. 모 중학교장의 학생 성희롱 사건이 그 시작이었다. 뒤이어 학교 운동장에 인조잔디 제품을 납품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업체로부터 수억원을 챙긴 혐의로 전 제주시교육청 인사위원이 구속 기소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최근 정부가 단호한 대책을 내놓고 있는 교원 성범죄, 교육 비리와 닿을 수 있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지역사회는 민감하게 반응했다. 두 사건을 둘러싸고 성명서 등 각계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제주도교육청의 안일한 대처와 지역교육청의 관리 부실을 지적하는 내용이었다.

"지난 6·2 교육감 선거에서 저에게 보내주신 성원의 의미가 도민 여러분의 열정과 헌신으로 함께 일구어온 제주교육의 싹을 더 잘 가꾸어 아름다운 꽃과 열매를 활짝 피우라는 엄숙한 명령으로 받아들이고 무한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3선에 성공한 양성언 제주도교육감이 지난 1일 읽어내려간 취임사중 한 대목이다. 당선의 감격을 담은 취임 인사가 채 잊혀지기도 전에 그런 일이 일어났다.

하지만 '뒤늦게 불거졌다'는 표현이 맞지 않을까 싶다. 성희롱 파문의 장본인인 모 중학교장이든 , 이른바 '잔디 비리'와 엮인 인사위원이든 이들을 둘러싼 '진실과 소문'이 적지않게 나돌았기 때문이다.

양성언 교육감은 다른 시·도보다 앞서 민선교육감 시대를 열었다. 지난 6년여동안 제주교육자치의 수장으로 어떤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선 평가가 엇갈릴 수 있겠지만, 이즈음에 벌어진 일련의 사태를 헤쳐갔던 모습은 유감스럽다.

모 중학교장과 관련된 일만 해도 그렇다. 제주시교육청이 해당자의 직위해제 사유로 꼽은 학교비리와 관련해 2008년부터 제보가 접수됐지만 학교장의 권한을 중시한다는 이유로 진상조사에 나서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지침을 따른다며 학교장의 체험학습 승인 권한을 무시하고 일제고사를 강화해온 입장과 앞뒤가 맞지 않는다.

지난 선거에서 양 교육감을 두고 "교과부 시책만 따르는 무사안일 행정의 교육감"이라는 모 후보의 공격이 있었다. 남은 임기동안 앞선 주장에서 자유로워지려면 소신과 통합의 리더십이 필요해보인다. 현장의 목소리를 차단하는 간부는 없는지, 교육청 감사 기능은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 오는 9월 정기인사는 그 시험대중 하나가 될 것 같다. <진선희 사회교육부 차장>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091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25 주요기사더보기

실시간뉴스

많이 본 뉴스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