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질의 청년 일자리 만들자" 제주시·제주한라대 맞손
입력 : 2022. 05. 11(수) 16:40
진선희기자 sunny@ihalla.com
가가
전문대-지자체 컨소시엄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사업 신청
지역특화 스마트 관광·청정 바이오 분야 학과 개편·신설 등
지역특화 스마트 관광·청정 바이오 분야 학과 개편·신설 등

11일 안동우 제주시장, 김성훈 제주한라대 총장이 공동위원장인 고등직업교육혁신위원회 회의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주시
우수한 지역 인재를 키우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제주시와 제주한라대학교가 손을 잡았다. 양측은 11일 안동우 제주시장, 김성훈 제주한라대 총장 등이 참석해 고등직업교육혁신위원회 회의를 열고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사업 운영에 대한 사항을 논의했다.
이 사업은 전문대학과 기초자치단체 간 컨소시엄을 구성해 고등직업교육거점을 조성함으로써 지역 소멸, 학령 인구 감소, 청년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 부족에 따른 인력난 등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2021년 기준 도내 전문대학 취업률은 제주한라대 70%, 제주관광대 70.6%로 전년보다 각각 5.5%p, 6.5%p 떨어졌다.
제주에서는 제주시와 제주한라대가 지난 4월 예비 신청했고 이날 심의 내용을 토대로 이달 13일까지 교육부에 최종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제주·호남권에서는 총 16개 컨소시엄이 예비 신청에 나섰다. 교육부는 제주·호남권 6개를 포함 다음 달 전국 30개 컨소시엄을 지원 대상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이들에게는 2025년까지 3년간 연 15억원의 사업비(국비 90%)가 지원된다.
제주시와 제주한라대는 이번 사업에서 지역특화분야를 정하고 그에 따른 교육과정 개편을 통한 인재 양성, 지역사회 평생직업교육 고도화 등을 추진한다. 이 중 지역특화분야는 스마트 관광(산업디자인학과, 방송영상학과, 인공지능공학과, 멀티미디어과, 호텔경영학과, 관광경영과), 청정 바이오(환경원예과, 호텔조리과, 호텔외식 경영학과, 유아교육과, 마산업자원학과)로 나눠 학과 개편과 신설을 계획하고 있다.
제주에서는 제주시와 제주한라대가 지난 4월 예비 신청했고 이날 심의 내용을 토대로 이달 13일까지 교육부에 최종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제주·호남권에서는 총 16개 컨소시엄이 예비 신청에 나섰다. 교육부는 제주·호남권 6개를 포함 다음 달 전국 30개 컨소시엄을 지원 대상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이들에게는 2025년까지 3년간 연 15억원의 사업비(국비 90%)가 지원된다.
제주시와 제주한라대는 이번 사업에서 지역특화분야를 정하고 그에 따른 교육과정 개편을 통한 인재 양성, 지역사회 평생직업교육 고도화 등을 추진한다. 이 중 지역특화분야는 스마트 관광(산업디자인학과, 방송영상학과, 인공지능공학과, 멀티미디어과, 호텔경영학과, 관광경영과), 청정 바이오(환경원예과, 호텔조리과, 호텔외식 경영학과, 유아교육과, 마산업자원학과)로 나눠 학과 개편과 신설을 계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