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 25시]도심 재정비 결단을 내려야 한다
입력 : 2011. 11. 17(목) 00:00
지난달 26일 서귀포시 '중정로 활성화 추진위원회'가 "중정로 확장계획을 폐지하는 도시관리계획 변경 절차를 조속히 이행해달라"는 의견을 제출했다. 1986년 5월 결정된 중정로 확장계획을 취소해달라는 말이다.

이 같은 의견은 이미 수차례 나온 바 있고 민선 4기 김태환 도정 시절에도 비슷한 결정이 내려졌다. 2009년 3월 박영부 서귀포시장이 중정로 구간 약 600m에 사업비 120억원을 들여 ▷차 없는 거리 ▷물의 거리 ▷문화의 거리 등 3개 테마를 가진 '명품 도로'를 만들겠다고 천명한 것이다. 당시에도 서귀포시는 중정로 도시계획도로 폐지를 제주자치도와 협의중이라고 밝혔다. 결국, 중정로의 확장계획은 폐지돼야 한다는 결론만 되풀이하며 수년째 진전이 없는 셈이다.

또 제주시 일도1·삼도2·건입동 등이 주 대상인 구도심 재정비 사업도 무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17일과 18일 주민설명회에서 주민 1700여명에게 배부된 (토지주들이 조합 구성을 통한 사업 추진 여부를 묻는)설문지 회수율이 고작 16%여서 제주자치도가 이를 개봉하지 않고 재설문 없이 내부의견을 수렴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제주시 구도심 재정비 사업의 무산 조짐도 지난해부터 예상됐다. 2010년 3월 12일 하룻동안 두차례에 걸쳐 열린 주민 설명회에서 지역별로 주민들의 관심사항이 극명하게 갈렸다. 특히 제주시 구도심권 재정비 촉진 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에서 제시된 주택재개발사업 구역과 관련, 주민과 용역진은 생각부터 달랐다. 용역진은 재개발사업 구역의 주체에 대해 토지주들의 조합 구성을 기본 원칙으로 설명했고, 주민들은 제주자치도나 공공기관이 주체가 되어 자신들의 토지를 매입해 주길 희망했다.

이 두 사업은 공통점이 있다. 우선 도심 재정비를 통한 지역 활성화 사업이라는 것과 모두 지지부진하다는 것. 그리고 이미 예견된 결과를 재확인만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사업들이 필요하다는 데는 모두가 공감한다. 하지만 뚜렷한 방향도 없고 추진도 안되고 있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주민의견 수렴에 머물고 있다.

지역 사업이 향후 선거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는 점은 이해한다. 그러나 누군가는 '총대'를 메고 해야 할 일이 아닌가. 민선 4기 도정에서 못했다면 이번 우근민 도정에서라도 과감한 결단을 내려야 할 것이다. <이정민 편집부 차장>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091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25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