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록담]'분노하라'의 메시지는 유효하다
입력 : 2012. 11. 28(수) 00:00
가가

지난해 국내에서 번역 출간된 스테판 에셀의 <분노하라>는 대한민국의 현실과 맞물려 많은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저자는 2차 세계대전 당시 반나치 레지스탕스로 활동하다 붙잡혀 사형선고 받고 집행 전 극적으로 탈출한 90대의 노투사. 저자가 '분노하라'고 외친 것은 그가 목숨 걸고 지켰던 자유 프랑스가 지켜나갈 원칙과 가치가 거꾸로 가고 있다는 현실 인식 때문이었다. 특히 심각한 빈부격차와 인권유린 등은 그를 분노하게끔 만들었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멸시와 극빈층과 최상위층간의 격차, 돈만을 좇는 무한경쟁을 부추기는 현실 등등. 그는 이러한 현실에 맞서 '분노하라'고 호소했다. 분노의 표출은 비폭력적 방법으로 참여하는 것이라고 했다.
대통령선거를 목전에 둔 2012년 우리 사회도 현실이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 이명박 정부 들어서 부자감세와 프렌들리 비즈니스로 대변되는 친재벌 정책은 우리 사회 양극화를 심화시켰다. 빈부격차는 교육비 격차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자녀 세대의 학력 격차로 이어져 학벌 문제와 부의 대물림을 고착화시키는 악순환을 낳고 있다. 이러한 경제 문제는 워킹푸어ㆍ에듀푸어ㆍ하우스푸어ㆍ렌트푸어ㆍ실버푸어 등 각종 빈곤층을 양산하면서 우리 사회를 더욱 움츠러들게 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6ㆍ10항쟁 이후 사실상 분노를 잊은 채 살아왔다. 이명박 정부 출범 초기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가 불거졌을 때 대규모 촛불시위를 통해 분노를 표출한 바 있지만 언제 그랬느냐는듯 싶다. 촛불은 꺼진지 오래다.
제주사회의 현주소도 비슷하다. 특별자치도인 제주도의 현안은 지난 5년 동안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여전히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는 제주해군기지와 신공항건설, 제주4ㆍ3의 완전한 해결 등은 지난 대통령선거에서도 제기됐던 단골메뉴들이다. 5년 전과 거의 판박이 현안이 되풀이되는 현실은 현 정부의 제주에 대한 인식을 보여준다. 때문에 사실상 여ㆍ야, 보수와 진보세력이 일대일로 맞붙는 이번 대통령선거의 의미는 크다.
12월의 대선은 이러한 사회문제들을 진단하고 구조적 모순에 대한 해법을 치열하게 모색하는 장이 돼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선거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현안에 대한 해법은 정책의 문제이고 대부분의 정책은 정치적 차원에서 결정되는 정치행위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경제민주화 관련 정책이나 무상보육 등 복지문제, 빈부격차 해소, 반값등록금 실천이나 청년일자리 문제 등 국민들이 관심갖는 대부분 의제가 그렇다. 이념보다도 국민생활과 밀접한 생활정치를 앞세운 새정치가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치권력은 선거에 의해 좌우되는 문제이다. 분노만 하지 말고 투표장에 나가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정치에 대한 무관심이나 냉소주의는 숨막힐 것 같은 현실의 변화를 가져올 수 없다. 여당이나 야당, 이 후보나 저 후보 모두 다 똑같다고 양비론으로 비판할지라도 차선, 아니면 차악이라도 선택하는 자세가 필요한 것이 아닐까. 민주사회에서 선거는 합법적인 쿠데타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
<이윤형 사회교육부장>
하지만 우리 사회는 6ㆍ10항쟁 이후 사실상 분노를 잊은 채 살아왔다. 이명박 정부 출범 초기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가 불거졌을 때 대규모 촛불시위를 통해 분노를 표출한 바 있지만 언제 그랬느냐는듯 싶다. 촛불은 꺼진지 오래다.
제주사회의 현주소도 비슷하다. 특별자치도인 제주도의 현안은 지난 5년 동안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여전히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는 제주해군기지와 신공항건설, 제주4ㆍ3의 완전한 해결 등은 지난 대통령선거에서도 제기됐던 단골메뉴들이다. 5년 전과 거의 판박이 현안이 되풀이되는 현실은 현 정부의 제주에 대한 인식을 보여준다. 때문에 사실상 여ㆍ야, 보수와 진보세력이 일대일로 맞붙는 이번 대통령선거의 의미는 크다.
12월의 대선은 이러한 사회문제들을 진단하고 구조적 모순에 대한 해법을 치열하게 모색하는 장이 돼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선거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현안에 대한 해법은 정책의 문제이고 대부분의 정책은 정치적 차원에서 결정되는 정치행위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경제민주화 관련 정책이나 무상보육 등 복지문제, 빈부격차 해소, 반값등록금 실천이나 청년일자리 문제 등 국민들이 관심갖는 대부분 의제가 그렇다. 이념보다도 국민생활과 밀접한 생활정치를 앞세운 새정치가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치권력은 선거에 의해 좌우되는 문제이다. 분노만 하지 말고 투표장에 나가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정치에 대한 무관심이나 냉소주의는 숨막힐 것 같은 현실의 변화를 가져올 수 없다. 여당이나 야당, 이 후보나 저 후보 모두 다 똑같다고 양비론으로 비판할지라도 차선, 아니면 차악이라도 선택하는 자세가 필요한 것이 아닐까. 민주사회에서 선거는 합법적인 쿠데타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
<이윤형 사회교육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