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록담]다시 4월이다
입력 : 2013. 04. 03(수) 00:00
가가

세계 최고 극작가이자 시인인 셰익스피어는 4월을 "절뚝거리는 겨울의 걸음걸이를 따라 성장(盛裝)한 4월이 온다"고 반겼다. 새풀꽃, 새풀옷의 성장에 하얀 구름 덮어쓴 '봄처녀'를 그리면서 말이다.
그러다 어느 순간엔 반갑지 않은 4월, '해면(海綿)같은 4월'을 노래하기도 했다. 몸은 해면체처럼 나른해지고, 기력은 떨어져 쉽게 피로에 휘감기는가 하면 졸리기는 축 처진 볏에 눈동자 허연 뉴캐슬병의 수탉처럼 춘곤증에 휩싸이기 때문일 것이다.
청명 한식 식목일(5일)로 이어지는 달이다. 봄이 돼 삼라만상이 맑고 화창해 나무심기에 적당한 시기다. 계절적으로 농사를 준비하기 위해 논밭둑을 손질하는 등 한 해 농사를 시작하는 시기인가 하면 겨우내 무너져내린 무덤을 보수하는 때이기도 하다. 이맘때면 문중마다 선조묘역을 찾아 묘제를 지내는 행렬도 이어진다.
제주인들은 그 이전인 3일 '4·3'을 그냥 지나칠 수 없다.
올해는 유난히 스크린에서 불어오는 '4·3바람'이 심상치 않다. 4·3영화 '지슬'이 전국 관객 5만명을 돌파하면서 4·3 바람을 일으키는가 하면 다큐멘터리 영화 '비념'도 눈길을 끈다. 4·3의 아픔을 흑백으로 덮은 '지슬'과는 상반되게 초록·주황이 교차하는 제주의 천연색으로 4·3의 아픔과 강정의 현재를 보여주는 '비념'은 3~4일 전국 각 영화관에서 개봉된다.
제주4·3사건이 발생한지 올해로 65년이 된다.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완전한 해결을 약속했지만 올해도 국가추념일 지정 등에 대한 정부의 움직임은 아직까지 없다. 한국 근대사 최대의 비극이라고 하는 제주4·3의 치유가 여전히 겉돌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오죽했으면 올해 '4·3의 완전한 해결은 국가추념일 지정부터'란 위령제 주제가 선보였겠는가.
제주4·3사건으로 희생된 규모는 근대사 여느 사건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이미 확인된 피해자만 1만4033명에 이른다. 5·18항쟁 228명, 거창사건 934명, 노근리사건 163명과 견주어 보라.
10년째 제자리인 국가추념일 지정은 당초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 중앙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에서 지난 2003년 제주4·3 사건 진상조사보고서를 의결하면서 4·3평화공원 조성, 집단매장지 및 유적지 발굴 등과 함께 정부에 건의한 7개 사업 가운데 하나다.
국가추념일로 지정되면 위령제가 정부차원에서 치러지고, 후속사업에 대해서도 정부차원의 지원이 뒤따른다. 역사적 사건 중 3·15의거, 4·19혁명, 5·18민주화운동, 6·10민주항쟁, 6·25사변 등이 지정됐다. 6·25사변은 안보의식 고취를 위해, 나머지는 민주화에 의미를 부여해 이뤄졌다 한다.
올해도 대통령의 제65주년 4·3위령제 참석은 물 건너갔다. 박근혜 대통령은 현재 남북대치 상황 등을 고려해 불참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제 4·3추념일 지정은 더 이상 늦춰선 안되고 국민 대통합 차원에서도 절실한 사안이다. 정부가 대승적 차원의 결단과 새로운 접근을 해야 한다.
4월이 '잔인한 4월'로서가 아니라 제주인 가슴에 잔잔한 '해원'을 안겨주는 달이 되려면 추념일 지정은 빠를수록 좋다. <김기현 경제부장>
그러다 어느 순간엔 반갑지 않은 4월, '해면(海綿)같은 4월'을 노래하기도 했다. 몸은 해면체처럼 나른해지고, 기력은 떨어져 쉽게 피로에 휘감기는가 하면 졸리기는 축 처진 볏에 눈동자 허연 뉴캐슬병의 수탉처럼 춘곤증에 휩싸이기 때문일 것이다.
제주인들은 그 이전인 3일 '4·3'을 그냥 지나칠 수 없다.
올해는 유난히 스크린에서 불어오는 '4·3바람'이 심상치 않다. 4·3영화 '지슬'이 전국 관객 5만명을 돌파하면서 4·3 바람을 일으키는가 하면 다큐멘터리 영화 '비념'도 눈길을 끈다. 4·3의 아픔을 흑백으로 덮은 '지슬'과는 상반되게 초록·주황이 교차하는 제주의 천연색으로 4·3의 아픔과 강정의 현재를 보여주는 '비념'은 3~4일 전국 각 영화관에서 개봉된다.
제주4·3사건이 발생한지 올해로 65년이 된다.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완전한 해결을 약속했지만 올해도 국가추념일 지정 등에 대한 정부의 움직임은 아직까지 없다. 한국 근대사 최대의 비극이라고 하는 제주4·3의 치유가 여전히 겉돌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오죽했으면 올해 '4·3의 완전한 해결은 국가추념일 지정부터'란 위령제 주제가 선보였겠는가.
제주4·3사건으로 희생된 규모는 근대사 여느 사건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이미 확인된 피해자만 1만4033명에 이른다. 5·18항쟁 228명, 거창사건 934명, 노근리사건 163명과 견주어 보라.
10년째 제자리인 국가추념일 지정은 당초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 중앙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에서 지난 2003년 제주4·3 사건 진상조사보고서를 의결하면서 4·3평화공원 조성, 집단매장지 및 유적지 발굴 등과 함께 정부에 건의한 7개 사업 가운데 하나다.
국가추념일로 지정되면 위령제가 정부차원에서 치러지고, 후속사업에 대해서도 정부차원의 지원이 뒤따른다. 역사적 사건 중 3·15의거, 4·19혁명, 5·18민주화운동, 6·10민주항쟁, 6·25사변 등이 지정됐다. 6·25사변은 안보의식 고취를 위해, 나머지는 민주화에 의미를 부여해 이뤄졌다 한다.
올해도 대통령의 제65주년 4·3위령제 참석은 물 건너갔다. 박근혜 대통령은 현재 남북대치 상황 등을 고려해 불참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제 4·3추념일 지정은 더 이상 늦춰선 안되고 국민 대통합 차원에서도 절실한 사안이다. 정부가 대승적 차원의 결단과 새로운 접근을 해야 한다.
4월이 '잔인한 4월'로서가 아니라 제주인 가슴에 잔잔한 '해원'을 안겨주는 달이 되려면 추념일 지정은 빠를수록 좋다. <김기현 경제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