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직 내부 횡령 적발, 악순환 고리 끊어야
입력 : 2025. 07. 31(목) 01:30
가가
[한라일보] 수 억 원대의 쓰레기 종량제 봉투 판매 대금을 가로챈 제주시청 공무원이 경찰에 고발됐다. 제주시는 종량제 봉투를 담당하는 공무직 직원을 종량제 봉투 판매대금 횡령 혐의로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고 그제 밝혔다. 자초지종을 떠나 있어서는 안 될 일이 또다시 발생했다.
제주시에 따르면 이 직원은 수년간 종량제 봉투 공급과 관리 업무를 담당하면서 종량제봉투를 현금 결제하는 매장을 골라 업주의 돈을 받고 주문을 취소한 것처럼 꾸며 현금을 가로챈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피해 규모만 6억원대로 파악되고 있다. 김완근 시장이 "관련 내부 감독 시스템에 문제가 있었고, 사전에 바로잡지 못한 명백한 실수가 있었다"며 공식 사과 입장을 피력했다. 수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해당 직원과 직무 감독자들에 대한 엄중 문책을 예고했다. 직원들의 과오와 더불어 허술한 시스템이 드러나면서 후폭풍이 불가피해졌다.
관리기관인 제주도 역시 내용을 인지하지 못하는 등 총체적 부실이 확인됐다. 유사 사례를 차단하기 위해 현금 결제를 전면 폐지하고 신용카드와 계좌이체만 허용해 담당자의 현금취급을 원천 차단하는 등의 제주도의 대책이 제시됐다. 재고·주문 관리를 디지털화하기로 했다. 종량제봉투 배달 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2년 주기 순환근무제도 도입키로 했다. 소를 잃고 나서 외양간을 고치는 꼴이 됐다. 제주시장의 공식 사과 및 일벌백계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으로 끝날 일이 아니다. 대다수 공직자들의 청렴도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헛되게 됐다. 거두절미하고 비리-적발-대책 마련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내야 한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관리기관인 제주도 역시 내용을 인지하지 못하는 등 총체적 부실이 확인됐다. 유사 사례를 차단하기 위해 현금 결제를 전면 폐지하고 신용카드와 계좌이체만 허용해 담당자의 현금취급을 원천 차단하는 등의 제주도의 대책이 제시됐다. 재고·주문 관리를 디지털화하기로 했다. 종량제봉투 배달 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2년 주기 순환근무제도 도입키로 했다. 소를 잃고 나서 외양간을 고치는 꼴이 됐다. 제주시장의 공식 사과 및 일벌백계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으로 끝날 일이 아니다. 대다수 공직자들의 청렴도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헛되게 됐다. 거두절미하고 비리-적발-대책 마련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내야 한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