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JDC와 함께 생각을 춤추게 하는 NIE] (15)미디어 활용 정서 안정 훈련 수업
입력 : 2025. 09. 17(수) 03:00
김미림 기자 kimmirimm@ihalla.com
가가
그림책·신문으로 만드는 공감과 정서적 울림

다양한 주제 찾아 읽고 토론하며 세대 간 연결
‘삶의 긍정’·‘사회적 소속감’·‘정서적 안정’ 회복
[한라일보] 나이가 들어가면서 겪게 되는 변화 가운데 가장 큰 어려움은 몸의 노화뿐만 아니라 마음의 흔들림이다. 기억이 예전 같지 않고, 생활 반경이 줄어들며, 사회적 관계가 좁아지다 보면 정서적인 불안이나 고립감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정서적 문제는 인지 기능 저하로도 이어지기 때문에, 시니어 교육 현장에서는 인지 훈련과 더불어 정서 안정 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홍선주 작가의 그림책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옷'은 단순한 옷의 형태를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세대를 거슬러 이어져 온 우리 옷의 변천사를 녹이고 과거로부터 옷의 역사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낸다. 그림책의 제목인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라는 반복적인 구조는 시니어들에게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하는 마법의 주문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옷이라는 구체적 사물을 통해 어린 시절의 기억을 불러오고, 가족의 이야기와 겹쳐지면서 자연스럽게 정서적 안정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신문을 연계하면 교육의 효과는 더욱 커진다. 신문은 현재를 담아내는 매체이자, 과거와의 비교점을 제공하는 기록물이다. 예를 들어 '한복의 현대적 변신'이나 '전통문화의 가치 재조명'과 같은 신문 기사를 읽고 토론하는 과정은 시니어에게 자신이 살아온 시대와 지금 세대를 연결 짓는 경험을 선사한다. 이는 단순히 정보를 습득하는 것을 넘어, "내가 살아온 시간과 지금의 세상은 서로 이어져 있다"는 연속성을 느끼게 하고, 존재감을 회복하도록 돕는다.
"내게 가장 소중했던 옷은 무엇이었나요?", "그 옷을 입었을 때의 마음은 어땠나요?" 같은 질문을 던지면, 시니어들은 각자의 삶의 순간을 이야기로 풀어낸다. 이는 자기 존재를 다시 확인하고, 그룹 안에서 상호 공감대를 형성하는 정서적 안정 효과를 높인다.
그림책과 신문을 활용한 시니어 인지훈련 수업이 목표로 하는 것은 다양한 주제를 그림책에서 찾고 일상생활과 연결시킬 수 있는 소재를 신문기사에서 찾아 연결짓는 것이 핵심이다. 이런 과정의 수업은 첫째, 개인적 기억 회상을 통해 시니어 스스로 자신의 삶을 긍정하게 돕는다. 둘째, 세대 간 연속성을 신문을 통해 느끼게 하여 사회적 소속감을 회복한다. 셋째, 창의적 표현 활동을 통해 정서적 안정과 자존감을 높인다. 이러한 장점은 단순한 학습 효과를 넘어,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인지·정서 통합 훈련으로 이어진다.
그림책 한 권과 신문 몇 장이 만들어내는 공감과 정서적 울림은 생각보다 크다.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옷' 속 따뜻한 옷 이야기는 시니어들의 마음을 다독이고, 신문 속 현재의 이야기는 그들을 오늘의 삶과 다시 연결한다. 우리는 종종 시니어들에게 새로운 기술이나 정보만을 가르치려 하지만, 정작 필요한 것은 그들의 삶을 존중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는 경험일지도 모른다. 그림책과 신문을 잇는 수업은 바로 그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연재팀/미디어교육연구회 'ON'>
수업 계획하기
▶수업 대상 : 시니어
▶수업 주제 : 그림책과 신문을 활용한 정서 안정 훈련 교육
▶활용 그림책 :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옷'(글·그림 홍선주, 감수 김소현, 책읽는곰 펴냄)
▶활용 신문 : 우리나라의 전통 의상 관련 기사, 제주 전통 의상의 역사 관련 기사
▶수업 성취 기준
-그림책을 활용해 감성자극 및 정서적 안정을 가져온다.
-신문을 활용해 일상과의 연결, 사회적 교류를 증진시킨다.
-활동을 통해 기억력, 언어력, 집중력, 시공간 지각력 등 인지 기능을 강화시킨다.
▶도입 : 책표지로 책 내용 상상하기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옷장 속에는 어떤 옷들이 들어 있을까요?
-사람들은 언제부터 옷을 입었을까요?
-사람들은 어떤 도구와 재료를 가지고 옷을 만들어 입었을까요?
-명절 때 사람들의 옛날과 오늘날의 옷차람의 같은점과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전개 : 오늘의 그림책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옷' 읽기
-그림책을 함께 읽으며 그림책 내용 이해하기
-그림책을 함께 읽으며 할머니의 과거의 옷차림과 그 시대 이야기 나누기(미니스커트 금지령, 한복 저고리 길이의 차이점 등 옷의 색, 모양, 의미나누기)
▶활동 :
1. 우리나라 전통의상 변천 순서 나열하기
2. 나라별 다른 전통 의상 구분해 보기
3. 나만의 한복 색깔 조합하기
4. 자개로 꾸미는 한복만들기
5. 우리나라 전통의상과 어울리는 소품 만들기
▶정리 : 내가 디자인하는 우리나라 대표 의상 소개하기 (내가 입고 싶은 의상)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삶의 긍정’·‘사회적 소속감’·‘정서적 안정’ 회복
[한라일보] 나이가 들어가면서 겪게 되는 변화 가운데 가장 큰 어려움은 몸의 노화뿐만 아니라 마음의 흔들림이다. 기억이 예전 같지 않고, 생활 반경이 줄어들며, 사회적 관계가 좁아지다 보면 정서적인 불안이나 고립감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정서적 문제는 인지 기능 저하로도 이어지기 때문에, 시니어 교육 현장에서는 인지 훈련과 더불어 정서 안정 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
여기에 신문을 연계하면 교육의 효과는 더욱 커진다. 신문은 현재를 담아내는 매체이자, 과거와의 비교점을 제공하는 기록물이다. 예를 들어 '한복의 현대적 변신'이나 '전통문화의 가치 재조명'과 같은 신문 기사를 읽고 토론하는 과정은 시니어에게 자신이 살아온 시대와 지금 세대를 연결 짓는 경험을 선사한다. 이는 단순히 정보를 습득하는 것을 넘어, "내가 살아온 시간과 지금의 세상은 서로 이어져 있다"는 연속성을 느끼게 하고, 존재감을 회복하도록 돕는다.
![]() |
그림책과 신문을 활용한 시니어 인지훈련 수업이 목표로 하는 것은 다양한 주제를 그림책에서 찾고 일상생활과 연결시킬 수 있는 소재를 신문기사에서 찾아 연결짓는 것이 핵심이다. 이런 과정의 수업은 첫째, 개인적 기억 회상을 통해 시니어 스스로 자신의 삶을 긍정하게 돕는다. 둘째, 세대 간 연속성을 신문을 통해 느끼게 하여 사회적 소속감을 회복한다. 셋째, 창의적 표현 활동을 통해 정서적 안정과 자존감을 높인다. 이러한 장점은 단순한 학습 효과를 넘어,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인지·정서 통합 훈련으로 이어진다.
그림책 한 권과 신문 몇 장이 만들어내는 공감과 정서적 울림은 생각보다 크다.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옷' 속 따뜻한 옷 이야기는 시니어들의 마음을 다독이고, 신문 속 현재의 이야기는 그들을 오늘의 삶과 다시 연결한다. 우리는 종종 시니어들에게 새로운 기술이나 정보만을 가르치려 하지만, 정작 필요한 것은 그들의 삶을 존중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는 경험일지도 모른다. 그림책과 신문을 잇는 수업은 바로 그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연재팀/미디어교육연구회 'ON'>
![]() |
![]() |
수업 계획하기
▶수업 대상 : 시니어
▶수업 주제 : 그림책과 신문을 활용한 정서 안정 훈련 교육
▶활용 그림책 :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옷'(글·그림 홍선주, 감수 김소현, 책읽는곰 펴냄)
▶활용 신문 : 우리나라의 전통 의상 관련 기사, 제주 전통 의상의 역사 관련 기사
▶수업 성취 기준
-그림책을 활용해 감성자극 및 정서적 안정을 가져온다.
-신문을 활용해 일상과의 연결, 사회적 교류를 증진시킨다.
-활동을 통해 기억력, 언어력, 집중력, 시공간 지각력 등 인지 기능을 강화시킨다.
▶도입 : 책표지로 책 내용 상상하기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옷장 속에는 어떤 옷들이 들어 있을까요?
-사람들은 언제부터 옷을 입었을까요?
-사람들은 어떤 도구와 재료를 가지고 옷을 만들어 입었을까요?
-명절 때 사람들의 옛날과 오늘날의 옷차람의 같은점과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전개 : 오늘의 그림책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옷' 읽기
-그림책을 함께 읽으며 그림책 내용 이해하기
-그림책을 함께 읽으며 할머니의 과거의 옷차림과 그 시대 이야기 나누기(미니스커트 금지령, 한복 저고리 길이의 차이점 등 옷의 색, 모양, 의미나누기)
▶활동 :
1. 우리나라 전통의상 변천 순서 나열하기
2. 나라별 다른 전통 의상 구분해 보기
3. 나만의 한복 색깔 조합하기
4. 자개로 꾸미는 한복만들기
5. 우리나라 전통의상과 어울리는 소품 만들기
▶정리 : 내가 디자인하는 우리나라 대표 의상 소개하기 (내가 입고 싶은 의상)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