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분양가 치솟더니…미분양 사상 처음 2000호 넘었다
입력 : 2023. 08. 31(목) 09:37수정 : 2023. 09. 03(일) 20:20
문미숙 기자 ms@ihalla.com
가가
7월 말 2358호로 한달 새 21% 증가…1년 전의 갑절 육박
최근 분양한 민간아파트 "너무 비싸다" 여론 강해 관심 저조
고금리 기조와 시장 관망세로 당분간 미분양 해소 어려울듯
최근 분양한 민간아파트 "너무 비싸다" 여론 강해 관심 저조
고금리 기조와 시장 관망세로 당분간 미분양 해소 어려울듯

[한라일보] 제주지역 미분양 주택이 사상 처음 2000호를 넘어섰다. 아파트 거주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낮아 그동안 실수요층을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했던 단지형 브랜드 아파트 분양에도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여론이 대세를 이루며 한 달 새 미분양 물량은 20% 증가했다. 주택매매도 잔뜩 위축돼 7월 거래량이 500건을 밑돌았다.
31일 국토교통부의 '7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도내 미분양주택은 2358호로로, 전월 대비 20.7%(404호) 증가하며 사상 처음 2000호를 넘어섰다. 전국 미분양이 5.0%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제주는 강원(35.1%) 다음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미분양 중 준공후 미분양은 803호로 전월 대비 1.1%(9호) 감소해, 미분양의 대부분이 최근 분양이 이뤄진 주택임이 통계에서 확인됐다.
작년 7월 1227호였던 미분양이 1년 사이에 갑절 가까이 급증한 것은 올들어 고분양가 논란 속에 청약시장에 대한 관심이 떨어진 게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최근 제주에서 분양한 소규모 주택은 물론 단지형 아파트도 청약 접수에서 대거 미달 사태를 맞았다.
지난 7월 제주시 애월읍 하귀1리에 분양한 효성해링턴 플레이스 제주는 425세대 모집에 115명이 청약접수했다. 이 아파트의 전용면적 84㎡ 기준 분양가는 최고가가 8억9110만원이다. 입지 등을 감안하면 너무 높다는 여론이 컸다.
이달 18~21일 청약 접수한 제주시 연동 소재 더샵 연동애비뉴는 204세대 모집에 64명만 청약접수했다. 분양가는 전용면적 84㎡ 기준 최고가가 11억7980만원으로, 도내 역대 최고가다. 공급면적 기준으로 3.3㎡당 3400만원대로, 7월 도내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3.3㎡당 2418만원)보다 1000만원정도 비싸고, 전국에서 가장 비싼 서울의 평균분양가(3193만원)보다 높아 청약신청이 저조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고금리 기조가 여전하고, 주택 가격에 대한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7월 주택매매거래량은 490건으로, 작년 동월 대비 16.1% 감소했다. 5년 평균에 비교하면 40.9% 줄어든 수치다. 반면 전월세 거래량은 꾸준해 1760건으로 작년 동월 대비 4.7%, 5년 평균 대비 54.1% 늘었다.
이처럼 주택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올해 인·허가와 착공 물량은 급감했다. 1~7월 주택 인허가는 4396호로 작년 동기(6813호)와 10년 평균(6275호) 대비 각각 35.5%, 29.9% 줄었다. 착공 주택도 비슷해 작년 동기(4187호)와 10년 평균(5534호) 대비 각각 43.7%, 57.4% 감소한 2358호에 그쳤다.
준공 주택은 2777호로 작년 동기(2417호) 대비 14.9% 늘었고, 10년 평균(4972호)에 견주면 44.2% 감소했다. #제주 #미분양 사상 첫 2000호 #서울보다 비싼 제주 분양가
미분양 중 준공후 미분양은 803호로 전월 대비 1.1%(9호) 감소해, 미분양의 대부분이 최근 분양이 이뤄진 주택임이 통계에서 확인됐다.
작년 7월 1227호였던 미분양이 1년 사이에 갑절 가까이 급증한 것은 올들어 고분양가 논란 속에 청약시장에 대한 관심이 떨어진 게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최근 제주에서 분양한 소규모 주택은 물론 단지형 아파트도 청약 접수에서 대거 미달 사태를 맞았다.
지난 7월 제주시 애월읍 하귀1리에 분양한 효성해링턴 플레이스 제주는 425세대 모집에 115명이 청약접수했다. 이 아파트의 전용면적 84㎡ 기준 분양가는 최고가가 8억9110만원이다. 입지 등을 감안하면 너무 높다는 여론이 컸다.
이달 18~21일 청약 접수한 제주시 연동 소재 더샵 연동애비뉴는 204세대 모집에 64명만 청약접수했다. 분양가는 전용면적 84㎡ 기준 최고가가 11억7980만원으로, 도내 역대 최고가다. 공급면적 기준으로 3.3㎡당 3400만원대로, 7월 도내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3.3㎡당 2418만원)보다 1000만원정도 비싸고, 전국에서 가장 비싼 서울의 평균분양가(3193만원)보다 높아 청약신청이 저조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고금리 기조가 여전하고, 주택 가격에 대한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7월 주택매매거래량은 490건으로, 작년 동월 대비 16.1% 감소했다. 5년 평균에 비교하면 40.9% 줄어든 수치다. 반면 전월세 거래량은 꾸준해 1760건으로 작년 동월 대비 4.7%, 5년 평균 대비 54.1% 늘었다.
이처럼 주택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올해 인·허가와 착공 물량은 급감했다. 1~7월 주택 인허가는 4396호로 작년 동기(6813호)와 10년 평균(6275호) 대비 각각 35.5%, 29.9% 줄었다. 착공 주택도 비슷해 작년 동기(4187호)와 10년 평균(5534호) 대비 각각 43.7%, 57.4% 감소한 2358호에 그쳤다.
준공 주택은 2777호로 작년 동기(2417호) 대비 14.9% 늘었고, 10년 평균(4972호)에 견주면 44.2% 감소했다. #제주 #미분양 사상 첫 2000호 #서울보다 비싼 제주 분양가
관련기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