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학살 주도 함병선 공적비 확인… “안내판 설치해야”
입력 : 2025. 10. 16(목) 16:11
양유리 기자 glassy38@ihalla.com
제주4·3희생자유족회 등 52개 단체 규탄 성명
“4·3 학살 주역, 공적 공간서 추모될 수 없어”
제주4·3 당시 민간인 학살을 주도한 함병선 제2연대장의 공적비.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 제공
[한라일보] 제주4·3 당시 민간인 학살을 주도한 함병선 제2연대장의 공적비가 확인된 가운데 4·3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와 제주4·3범국민위원회 등 52개 단체는 16일 성명을 내고 “함병선·박진경 비석에 올바른 안내판을 즉각 설치하라”고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거리의 4·3 왜곡 현수막과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의 4·3 왜곡 영화 ‘건국전쟁2’ 관람은 유족들에게 상처를, 도민들에게 분노를 일으켰다”며 “박진경과 함께 4·3 학살의 또 다른 주역인 함병선 당시 제2연대장을 추도하는 비석이 제주 땅에 세워져 있는 사실이 공개됐다”고 말했다.

이어 “함병선 공적 기념비는 제주시 모 부대 인근에 있다”며 “함병선은 1948년 12월부터 제주에 주둔하면서 4·3 대규모 학살이 이뤄졌던 시기 지휘 체계의 최정점에 있던 인물이다. 당시 군법회의 최고 책임자였다는 기록도 있다”고 강조했다.

제주4·3 당시 민간인 학살을 주도한 함병선 제2연대장의 공적비. 비석 아래는 꽃과 태극기, 성조기 등이 놓여져 있다.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 제공
또 “4·3 학살의 주역들이 국가의 공적 공간에 추모 대상이 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학살의 역사가 여전히 남아 있는 제주에 그들의 추모비가 존재하는 것은 4·3 왜곡의 또 다른 증거”라고 지적했다.

더불어 “4·3희생자유족회 등은 민선 7기부터 공개적으로 박진경 대령 추도비 등에 대한 철거가 아닌 4·3진상조사보고서 등을 토대로 객관적 사실을 적시한 4·3안내판 설치를 요구했다”며 “도민의 대의기관인 제주도의회에도 요구했으나 몇 년째 ‘검토 중’에 머물러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더 이상 4·3에 대한 왜곡과 폄훼는 다양한 관점의 존중이라는 미사여구로 미화되서는 안 된다”며 “학살 미화 영화를 보자는 것은 아우슈비츠 생존자에게 나치 선전물을 보여주자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 오영훈 도정은 4·3 왜곡에 대한 구체적인 행정행위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260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사회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