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와 중국을 말하다]제3부 제주관광 가치를 높이자-③500만 유치,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입력 : 2014. 07. 30(수) 00:00
김성훈 기자 shkim@ihalla.com
가가
흐름은 한순간, 거품 걷힐때를 대비하자
현 여건으론 500만 유치는 욕심
교통편 관건… 매력 지속성 불안
외래시장질서 저해행위 단속해야
지난해 기준으로 방한 중국관광객(432만명) 10명 중 4명은 제주여행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3년 한해 해외여행을 한 중국인들은 약 9800만명. 최근 성장세를 감안하면 오는 2020년엔 2억명 가량 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단순 수치만을 놓고 보면 2020년 제주를 찾는 중국관광객은 500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계산이다.
그러나 이같은 추산은 큰 변수가 없을 때를 가정한 것으로 외래관광시장엔 예측할 수 없는 수많은 외부 요소들이 변수로 등장한다. 지난해 중국 정부가 자국관광객 보호를 명분으로 내세워 시행했던 '여유법'도 한 예가 될 수 있고 방문국가의 정치적 안정문제도 변수에서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더불어 수용여건은 내부적인 변수로 평가되는 대목이다. 오는만큼 수용할 수 있고 또 모두를 만족시킬수 있는가 하는 부분이다. 제주의 현 여건으론 500만명 전후의 중국관광객을 수용하거나 유치할 수 있느냐는 질문엔 관광업계에서조차 자신하지 못하고 있다. 제주에 도착 후 먹고 자고 즐기는 문제도 그렇지만 기본적으로 제주에 올 수 있는가 하는 부분이다. 교통문제로, 지금의 제주공항 수준으론 불가능하다는게 지론이다.
또 중국인들의 발길을 계속 끌어들일 수 있는 매력물의 지속성 여부도 변수다. 중국인들을 열광케 하는 제주관광의 3대 매력물인 가깝고 깨끗하고 노비자라는 점이 언제까지 경쟁력을 갖출수 있을지 또한 의문이다. 관광전문가들은 '흐름은 한 순간'이란 점을 강조한다. 지금은 중국대륙이 제주에 열광하고 있지만 곧 그 거품이 걷히게 되며 그때를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특히 제주관광 시장질서를 저해하는 행위에 대한 지방정부의 단속이 어느때보다 요구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교통편 관건… 매력 지속성 불안
외래시장질서 저해행위 단속해야
지난해 기준으로 방한 중국관광객(432만명) 10명 중 4명은 제주여행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3년 한해 해외여행을 한 중국인들은 약 9800만명. 최근 성장세를 감안하면 오는 2020년엔 2억명 가량 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단순 수치만을 놓고 보면 2020년 제주를 찾는 중국관광객은 500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계산이다.
더불어 수용여건은 내부적인 변수로 평가되는 대목이다. 오는만큼 수용할 수 있고 또 모두를 만족시킬수 있는가 하는 부분이다. 제주의 현 여건으론 500만명 전후의 중국관광객을 수용하거나 유치할 수 있느냐는 질문엔 관광업계에서조차 자신하지 못하고 있다. 제주에 도착 후 먹고 자고 즐기는 문제도 그렇지만 기본적으로 제주에 올 수 있는가 하는 부분이다. 교통문제로, 지금의 제주공항 수준으론 불가능하다는게 지론이다.
또 중국인들의 발길을 계속 끌어들일 수 있는 매력물의 지속성 여부도 변수다. 중국인들을 열광케 하는 제주관광의 3대 매력물인 가깝고 깨끗하고 노비자라는 점이 언제까지 경쟁력을 갖출수 있을지 또한 의문이다. 관광전문가들은 '흐름은 한 순간'이란 점을 강조한다. 지금은 중국대륙이 제주에 열광하고 있지만 곧 그 거품이 걷히게 되며 그때를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특히 제주관광 시장질서를 저해하는 행위에 대한 지방정부의 단속이 어느때보다 요구되고 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