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도의 현장시선] 300MW 신규 가스발전소 반드시 필요한가?
입력 : 2025. 09. 19(금) 06:00수정 : 2025. 09. 19(금) 06:57
고성현 기자 kss0817@ihalla.com
가가

[한라일보]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재생에너지 확대의 바람이 불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이었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국정과제로 채택돼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고려해 전력 수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려면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산업을 키워야 한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풍력과 태양광을 중심으로 한 재생에너지 확대는 정부 차원의 최우선 과제가 된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 출범하는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온실가스 감축계획과 제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지연된 화력발전 계획을 취소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불필요한 화력발전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전환을 가속하겠다는 신호로 읽힌다. 이러한 논의에는 제주도의 300MW 가스발전소 건립 계획도 포함된다.
현재 제주도에는 한국동서발전의 150MW, 한국중부발전의 150MW 가스발전소 건립이 예정돼 있다. 두 사업 모두 아직 환경영향평가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실제 공사 착수에는 이르지 못했다. 따라서 이들 역시 지연사업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며, 정부 방침에 따라 제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사업이 철회될 수 있다.
더욱이 최근 제주도의 가스발전소 건립 여건도 긍정적이지 않다. 현재 제주에서 가스발전소를 운영하는 한국남부발전과 한국중부발전의 경영상황이 좋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비용을 아끼려 비상 연료도 채우지 않는다는 얘기도 나온다. 여기에 재생에너지 보급은 더욱 확대될 전망으로 제주에너지공사가 추진 중인 풍력발전 규모만 해도 143MW에 달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제주도가 새롭게 가스발전소를 지을 상황이 아님은 분명하다.
따라서 제주도의 300MW 신규 가스발전소 건립은 사실상 실현 가능성이 크지 않다. 오히려 재생에너지 보급을 원활히 하고 좌초 자산화를 방지하려면 이 계획은 중단돼야 한다. 그 대신 300MW 규모의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 도입을 요구하는 것이 타당하다. 정부는 이미 국정과제에서 재생에너지 연계형 전기저장장치 활성화를 명시했다. 또한 당초 2026년까지로 계획된 ESS 구축 사업을 2029년까지 확대해 더 많은 설비를 보급하기로 했으며, 특히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우선 지원 대상으로 삼고 있다.
제주도는 현재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최종 후보에 올라 있으며, 최종 발표를 앞두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제주도가 해야 할 일은 300MW 가스발전소 계획의 백지화를 정부에 공식적으로 요청하고, 그 대신 300MW 규모의 BESS 구축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이는 제주도가 내세운 2035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필수 과제일 뿐 아니라, 재생에너지 확대의 선도 모델에서 더 나아가 계통 안정화의 모범 모델로 거듭날 기회다. 지금이 바로 그 전환의 적기이다. 제주도가 이 호기를 놓치지 않는다면 2035년 탄소중립을 가능하게 하는 미래 에너지 정책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김정도 기후해양정책연구소 코리 연구실장>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현재 제주도에는 한국동서발전의 150MW, 한국중부발전의 150MW 가스발전소 건립이 예정돼 있다. 두 사업 모두 아직 환경영향평가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실제 공사 착수에는 이르지 못했다. 따라서 이들 역시 지연사업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며, 정부 방침에 따라 제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사업이 철회될 수 있다.
더욱이 최근 제주도의 가스발전소 건립 여건도 긍정적이지 않다. 현재 제주에서 가스발전소를 운영하는 한국남부발전과 한국중부발전의 경영상황이 좋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비용을 아끼려 비상 연료도 채우지 않는다는 얘기도 나온다. 여기에 재생에너지 보급은 더욱 확대될 전망으로 제주에너지공사가 추진 중인 풍력발전 규모만 해도 143MW에 달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제주도가 새롭게 가스발전소를 지을 상황이 아님은 분명하다.
따라서 제주도의 300MW 신규 가스발전소 건립은 사실상 실현 가능성이 크지 않다. 오히려 재생에너지 보급을 원활히 하고 좌초 자산화를 방지하려면 이 계획은 중단돼야 한다. 그 대신 300MW 규모의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 도입을 요구하는 것이 타당하다. 정부는 이미 국정과제에서 재생에너지 연계형 전기저장장치 활성화를 명시했다. 또한 당초 2026년까지로 계획된 ESS 구축 사업을 2029년까지 확대해 더 많은 설비를 보급하기로 했으며, 특히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우선 지원 대상으로 삼고 있다.
제주도는 현재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최종 후보에 올라 있으며, 최종 발표를 앞두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제주도가 해야 할 일은 300MW 가스발전소 계획의 백지화를 정부에 공식적으로 요청하고, 그 대신 300MW 규모의 BESS 구축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이는 제주도가 내세운 2035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필수 과제일 뿐 아니라, 재생에너지 확대의 선도 모델에서 더 나아가 계통 안정화의 모범 모델로 거듭날 기회다. 지금이 바로 그 전환의 적기이다. 제주도가 이 호기를 놓치지 않는다면 2035년 탄소중립을 가능하게 하는 미래 에너지 정책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김정도 기후해양정책연구소 코리 연구실장>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