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건설경기 침체' 생활폐기물도 줄었다
입력 : 2020. 05. 06(수) 18:09
문미숙기자 ms@ihalla.com
제주시, 올들어 3월까지 하루 생활폐기물 14% 감소
대형 숙박업소 등 다량배출사업장 폐기물은 65% ↓
코로나19로 제주를 찾는 관광객 감소에다 건설경기 침체, 순이동(전입-전출) 인구 감소세가 맞물리며 제주지역 생활폐기물 발생량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광숙박업과 공사장 등 사업장의 생활폐기물 발생량 감소폭이 눈에 띄었다.

 6일 제주시에 따르면 올들어 3월까지 석달간 하루평균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764.7t으로 작년 같은기간(885.1t)에 견줘 13.6% 감소했다. 소각량이 259.1t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4% 감소했고, 매립량은 67.1% 감소한 23.0t으로 집계됐다. 음식물폐기물 발생량은 1.9% 증가한 135.6t, 재활용품은 8.6% 줄어든 347.0t으로 집계됐다.

 특히 하루 폐기물 발생량이 300㎏ 이상이거나 1회 5t 이상 발생하는 대형마트, 대형숙박시설, 공사장 등 폐기물법에 따라 사업장으로 분류되는 곳에서의 1~3월 일평균 폐기물 발생량은 70.5t으로 작년 같은기간(198.8t) 대비 64.5% 감소했다. 이는 건설경기가 장기간 침체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데다 관광객이 주요고객인 대규모 숙박업소 등 관광사업장이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직격탄을 맞은 탓으로 풀이되고 있다.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1월 제주관광객은 125만46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5% 증가했지만 2월(62만8804명)과 3월(48만762명)엔 각각 43.4%, 58.7% 감소했다.

 제주도내 연간 일평균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2014년 976.2t에서 ▷2015년 1162.3t ▷2016년 1305.3t ▷2017년 1312.1t ▷2018년 1311.5t ▷2019년 1239.7t으로 2017년 정점을 찍고 소폭의 감소세를 돌아섰다. 이는 부동산경기 과열과 관광객 증가, 순이동 인구가 4년 연속 연 1만명을 웃돌던 데서 부동산시장이 얼어붙고 순이동인구가 2018년 8853명, 2019년 2936명으로 축소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올들어 3월엔 전출인구가 전입인구보다 많아 순이동인구가 마이너스(-362명)를 기록했다.

 환경부의 2017년도 전국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자료에 따르면 제주지역 1인당 1일 생활계 폐기물 발생량은 1.93㎏으로 전국평균(1.01㎏)을 웃돌며 가장 많았다.

 제주시 관계자는 "2~3월 생활폐기물 발생량 감소는 관광객 감소와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관련산업 부진 등이 일부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특히 매립량 감소는 동복 환경자원순환센터 주민지원협의체 지역감시원들의 매립폐기물에 대한 철저한 감시활동 영향도 있다"고 밝혔다.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099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