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윤의 편집국 25시] 무사증 제도의 부작용
입력 : 2018. 07. 05(목) 00:00
이태윤 기자 lty9456@ihalla.com
가가

최근 제주도 예멘 난민 수용 여부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가운데 무사증(무비자) 제도의 부작용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지인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난민 수용 여부는 단연 화두였다.
이들은 "수용해야 한다", "수용해서는 안 된다"라는 큰 틀에서 각자가 다른 의견을 내놓는다. 그리곤 곧 무사증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제주도로 주제를 바꾼 뒤 무사증 제도의 부작용으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다는 데에 의견을 모은다.
무사증 제도는 2002년 해외 관광객의 유치를 위해 시행됐다. 테러 지원국 등 12개국을 제외한 나라의 외국인은 비자 없이도 입국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인들의 발길은 자연스레 제주로 향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무사증 제도가 외국인 불법체류 통로로 이용되는가 하면 도내 외국인 범죄율 증가 등 여러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제주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제주에서 검거된 외국인 범죄자는 지난 2013년 299명에서 2014년 333명, 2015년 393명, 2016년 649명, 지난해 644명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5년 새 두 배 이상 늘어났다. 이중 중국인 범죄가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다. 2015년 66.1%(260명), 2016년 71.6%(465명), 2017년 67.7%(436명)에 이른다. 불법체류자는 2015년 16명에 불과하던 것이 2016년 54명, 2017년 67명으로 늘었다.
건설현장에서 중국인 일용직 노동자를 관리하는 한 관계자가 "중국인들끼리 살인 사건이 벌어지는 등 제주 사회가 치안 문제로 흉흉하다"면서 "건설현장에서 중국인들에게 일에 대한 지시를 하는데 솔직히 봉변당할까 겁이 날 때도 있다"고 토로했을 정도다.
무사증 제도의 폐지·보완을 두고 정부의 선택이 중요하겠지만, 이전에 제주도 자체적인 방안도 필요한 때이다.
<이태윤 편집부 기자>
최근 지인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난민 수용 여부는 단연 화두였다.
이들은 "수용해야 한다", "수용해서는 안 된다"라는 큰 틀에서 각자가 다른 의견을 내놓는다. 그리곤 곧 무사증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제주도로 주제를 바꾼 뒤 무사증 제도의 부작용으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다는 데에 의견을 모은다.
이에 따라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인들의 발길은 자연스레 제주로 향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무사증 제도가 외국인 불법체류 통로로 이용되는가 하면 도내 외국인 범죄율 증가 등 여러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제주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제주에서 검거된 외국인 범죄자는 지난 2013년 299명에서 2014년 333명, 2015년 393명, 2016년 649명, 지난해 644명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5년 새 두 배 이상 늘어났다. 이중 중국인 범죄가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다. 2015년 66.1%(260명), 2016년 71.6%(465명), 2017년 67.7%(436명)에 이른다. 불법체류자는 2015년 16명에 불과하던 것이 2016년 54명, 2017년 67명으로 늘었다.
건설현장에서 중국인 일용직 노동자를 관리하는 한 관계자가 "중국인들끼리 살인 사건이 벌어지는 등 제주 사회가 치안 문제로 흉흉하다"면서 "건설현장에서 중국인들에게 일에 대한 지시를 하는데 솔직히 봉변당할까 겁이 날 때도 있다"고 토로했을 정도다.
무사증 제도의 폐지·보완을 두고 정부의 선택이 중요하겠지만, 이전에 제주도 자체적인 방안도 필요한 때이다.
<이태윤 편집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