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극장 철거, 문화자산에 대한 고민 부족" 질타
입력 : 2025. 10. 23(목) 15:48수정 : 2025. 10. 23(목) 17:00
문미숙기자 ms@ihalla.com
가가
도의회 문광위, 공감대 부족·공유재산심의 생략 비판
"철거·보존 이분법적 접근 철거 결정 아쉽다" 지적도
서귀포시 "전문가·시민 등으로 협의체 구성하겠다"
"철거·보존 이분법적 접근 철거 결정 아쉽다" 지적도
서귀포시 "전문가·시민 등으로 협의체 구성하겠다"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는 23일 서귀포시를 상대로 한 행정사무감사 진행에 앞서 철거 논란이 일고 있는 옛 서귀포관광극장을 현장 방문했다. 서귀포시 제공
[한라일보]옛 서귀포관광극장 철거와 관련, 문화자산에 대한 서귀포시의 고민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제주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잇따랐다. 특히 지역사회와의 공감대 부족과 멸실 관련 공유재산심의 절차 생략 등 행정절차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위원회는 23일 오전 지난달 석축 벽체 철거작업 중 중단된 서귀포관광극장을 현장 방문해 실태 점검 후 서귀포시를 상대로 행정감사를 벌였다.
양영수 의원(진보당, 아라동을)은 "서귀포시가 문화도시 사업으로 '어제의 유산 내일의 보물'이라는 주제로 서귀포미래문화자산 찾기를 했는데, 시민들이 손꼽은 것 중의 하나가 관광극장"이라며 "그런데 오늘 현장점거에서 내부를 살펴보니 그동안 방치한 느낌이 들었다"고 지적했다.
원화자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도 "서귀포시가 5년 전 미래문화자산 예비목록에 올랐던 관광극장 철거를 결정한 것은 행정에 대한 신뢰와 정책 일관성을 떨어뜨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철거와 보존의 이분법적 접근으로 관광극장 철거를 결정한 데 대해 고민이 부족했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강철남 의원(더불어민주당, 연동을)은 "극장 건물의 역사적 가치와 상태, 시민의 집단 기억의 장소라는 점, 행정의 정책 방향 등 종합적으로 판단해 결정해야 했는데 서귀포시가 성급했다"며 "이중섭미술관 확장과 연결해 관광극장의 재해석·재창조라는 측면에서 접근해 석축 벽체가 높아 위험하다면 낮춰서 지키는 방법도 있었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강 의원은 또 "제주시는 청사 지붕을 근대문화유산으로 등록했고, 시민회관은 지붕을 활용해 재건축하고 있다. 가설건축물이라는 이유로 카사델아구아를 철거했던 서귀포시가 이번에도 고민이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고태민 위원장(국민의힘, 애월읍갑)은 건물 멸실과 관련한 공유재산심의회의 심의를 받지 않은 점을 집중 거론했다.
고 위원장은 "지난 7월 서귀포시가 극장내 건물을 철거했는데, 행정재산으로 매입했다면 멸실도 처분에 해당한다. 기준가격이 10억원 이상은 도의회 승인을 받아야 하고, 그 이하는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한다"고 추궁했다. 이어 "제주도 전통가옥 등 건축자산 보존과 진흥에 관한 조례에 제주돌담을 보전하라는 문구가 있다. 건축 후 50년이 지나 등록문화유산도 검토해야 했는데 안타깝다"고 했다.
의원들이 한목소리로 철거 결정 과정에서 공론화 부족과 일부 행정절차가 미흡했다고 지적하자 오순문 서귀포시장은 "철거와 관련해 혼란을 야기한 부분은 죄송하다. 공론화 과정이 부족했다는 지적을 받아들이고, 일부 행정절차에 실수가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석축 벽체까지 정밀안전진단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벽체 철거는 불가피했다. 무너지기라도 하면 누가 책임질 것이냐"고 했다. 이어 "극장 폐업 후 15년 동안 방치됐는데 왜 그동안 한마디 없었냐? 지난 6월부터 철거 관련 입장을 밝혔고, 9월 10일 보도자료도 냈다"며 철거 중단을 요청한 건축 단체에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한편 서귀포시는 관광극장의 디귿자 모양의 벽체 중 철거하지 않은 북쪽 벽체와 본관 건물의 보존 여부, 활용 방안 등에 대해 전문가, 문화예술인, 시민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양영수 의원(진보당, 아라동을)은 "서귀포시가 문화도시 사업으로 '어제의 유산 내일의 보물'이라는 주제로 서귀포미래문화자산 찾기를 했는데, 시민들이 손꼽은 것 중의 하나가 관광극장"이라며 "그런데 오늘 현장점거에서 내부를 살펴보니 그동안 방치한 느낌이 들었다"고 지적했다.
원화자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도 "서귀포시가 5년 전 미래문화자산 예비목록에 올랐던 관광극장 철거를 결정한 것은 행정에 대한 신뢰와 정책 일관성을 떨어뜨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철거와 보존의 이분법적 접근으로 관광극장 철거를 결정한 데 대해 고민이 부족했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강철남 의원(더불어민주당, 연동을)은 "극장 건물의 역사적 가치와 상태, 시민의 집단 기억의 장소라는 점, 행정의 정책 방향 등 종합적으로 판단해 결정해야 했는데 서귀포시가 성급했다"며 "이중섭미술관 확장과 연결해 관광극장의 재해석·재창조라는 측면에서 접근해 석축 벽체가 높아 위험하다면 낮춰서 지키는 방법도 있었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강 의원은 또 "제주시는 청사 지붕을 근대문화유산으로 등록했고, 시민회관은 지붕을 활용해 재건축하고 있다. 가설건축물이라는 이유로 카사델아구아를 철거했던 서귀포시가 이번에도 고민이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고태민 위원장(국민의힘, 애월읍갑)은 건물 멸실과 관련한 공유재산심의회의 심의를 받지 않은 점을 집중 거론했다.
고 위원장은 "지난 7월 서귀포시가 극장내 건물을 철거했는데, 행정재산으로 매입했다면 멸실도 처분에 해당한다. 기준가격이 10억원 이상은 도의회 승인을 받아야 하고, 그 이하는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한다"고 추궁했다. 이어 "제주도 전통가옥 등 건축자산 보존과 진흥에 관한 조례에 제주돌담을 보전하라는 문구가 있다. 건축 후 50년이 지나 등록문화유산도 검토해야 했는데 안타깝다"고 했다.
의원들이 한목소리로 철거 결정 과정에서 공론화 부족과 일부 행정절차가 미흡했다고 지적하자 오순문 서귀포시장은 "철거와 관련해 혼란을 야기한 부분은 죄송하다. 공론화 과정이 부족했다는 지적을 받아들이고, 일부 행정절차에 실수가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석축 벽체까지 정밀안전진단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벽체 철거는 불가피했다. 무너지기라도 하면 누가 책임질 것이냐"고 했다. 이어 "극장 폐업 후 15년 동안 방치됐는데 왜 그동안 한마디 없었냐? 지난 6월부터 철거 관련 입장을 밝혔고, 9월 10일 보도자료도 냈다"며 철거 중단을 요청한 건축 단체에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한편 서귀포시는 관광극장의 디귿자 모양의 벽체 중 철거하지 않은 북쪽 벽체와 본관 건물의 보존 여부, 활용 방안 등에 대해 전문가, 문화예술인, 시민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