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축제 등 연계 제주 문화 알리자"
입력 : 2014. 07. 16(수) 00:00
진선희 기자 sunny@ihalla.com
가가
[제주와 중국을 말하다]제2부 한류와 소비시장-①중국 한류 새로운 기회로

중국을 찾는 한국 관광객들도 현대미술의 흐름을 만날 수 있는 베이징시 798 예술구. 취재팀은 최근 현지를 찾아 제주 문화를 어떤 방식으로 중국에 알릴 수 있을지 조명했다. 진선희기자
자연·문화 한류콘텐츠 구축
개별 방문객 고급화 전략 필요
공장 지대를 거대한 '예술 마을'로 탈바꿈시켜놓은 중국 베이징시 798예술구. 중국 각지에서 몰려든 여행객들이 대도시 투어에서 빠지지 않는 방문지역 중 하나다. 중국을 찾는 한국 관광객들도 현대미술의 흐름을 만날 수 있는 798예술구에 들르는 일이 늘고 있다. >>관련기획 5면
한류 열풍이 더해지며 한국, 그중 제주로 향하고 있는 중국 관광객들은 어디서 제주 문화를 체험할 수 있을까. 제주 문화는 어떤 방식으로 중국에 알릴 수 있을까.
취재팀이 지난달 방문한 베이징 주중한국문화원엔 마침 한국어를 배우려는 중국인들이 걸음마를 떼어놓고 있었다. 드라마를 통해 한국에 호기심을 가진 이래 화장품, 음식 등 여러 문화를 체험하는 있다는 대학생들도 만났다. 이들은 너나없이 제주를 언젠가 꼭 가보고 싶은 지역으로 꼽았지만 '어디서 무엇'을 즐기겠다는 이야길 덧붙이는 경우는 드물었다.
제주는 중국인들이 손에 꼽는 여행지인 만큼 제주가 지닌 자연과 문화를 대표적인 한류 콘텐츠로 개발해야 할 것이다. 김진곤 주중한국문화원장은 "제주 문화를 알리기 위해 중국 현지에서 별도의 행사를 갖기 보다는 베이징 빙등제 등 기존 축제에 참여하는 방식을 택하는 게 훨씬 효과적"이라며 "제주 안에서는 중국 관광객을 겨냥해 한라산이라는 킬러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제주에서 중국 관광객들이 즐기는 대표적 문화상품 중 하나로 '난타'를 꼽을 수 있다. 지난해 외국인 관람객의 72%가 중국인이었다. 단체 여행상품으로 입도하는 관광객이 많은 탓에 구체적 공연 정보를 모른 채 관람하는 일이 있지만 개별 관광객 증가에 맞춰 자발적으로 입장권을 구매하는 중국인들도 늘고 있다는 게 제주PMC측의 설명이다. 단체 여행객만이 아니라 좀 더 고급화된 상품을 원하는 중국인들을 위한 새로운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개별 방문객 고급화 전략 필요
공장 지대를 거대한 '예술 마을'로 탈바꿈시켜놓은 중국 베이징시 798예술구. 중국 각지에서 몰려든 여행객들이 대도시 투어에서 빠지지 않는 방문지역 중 하나다. 중국을 찾는 한국 관광객들도 현대미술의 흐름을 만날 수 있는 798예술구에 들르는 일이 늘고 있다. >>관련기획 5면
취재팀이 지난달 방문한 베이징 주중한국문화원엔 마침 한국어를 배우려는 중국인들이 걸음마를 떼어놓고 있었다. 드라마를 통해 한국에 호기심을 가진 이래 화장품, 음식 등 여러 문화를 체험하는 있다는 대학생들도 만났다. 이들은 너나없이 제주를 언젠가 꼭 가보고 싶은 지역으로 꼽았지만 '어디서 무엇'을 즐기겠다는 이야길 덧붙이는 경우는 드물었다.
제주는 중국인들이 손에 꼽는 여행지인 만큼 제주가 지닌 자연과 문화를 대표적인 한류 콘텐츠로 개발해야 할 것이다. 김진곤 주중한국문화원장은 "제주 문화를 알리기 위해 중국 현지에서 별도의 행사를 갖기 보다는 베이징 빙등제 등 기존 축제에 참여하는 방식을 택하는 게 훨씬 효과적"이라며 "제주 안에서는 중국 관광객을 겨냥해 한라산이라는 킬러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제주에서 중국 관광객들이 즐기는 대표적 문화상품 중 하나로 '난타'를 꼽을 수 있다. 지난해 외국인 관람객의 72%가 중국인이었다. 단체 여행상품으로 입도하는 관광객이 많은 탓에 구체적 공연 정보를 모른 채 관람하는 일이 있지만 개별 관광객 증가에 맞춰 자발적으로 입장권을 구매하는 중국인들도 늘고 있다는 게 제주PMC측의 설명이다. 단체 여행객만이 아니라 좀 더 고급화된 상품을 원하는 중국인들을 위한 새로운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