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북상업지역 체비지 매각 안돼 또 사업기간 연장
입력 : 2025. 10. 24(금) 12:25수정 : 2025. 10. 24(금) 13:08
문미숙기자 ms@ihalla.co
가가
제주시, 도시개발사업 기간 올해 10월→내년 9월로
공원용지에 도시계획시설 주차장 중복결정 등 반영
설계 보완으로 총사업비 898억→1342억으로 증액
공원용지에 도시계획시설 주차장 중복결정 등 반영
설계 보완으로 총사업비 898억→1342억으로 증액

제주시 화북상업지역 전경.
[한라일보] 제주시가 화북1동 일대에 추진 중인 화북상업지역 도시개발사업이 주상복합용지 매각 절차 지연으로 또 연장됐다. 사업지구 내 가장 덩치가 큰 체비지가 팔리지 않으면서 개발자금 충당이 어려워 사업이 장기간 답보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시는 화북상업지역 사업 기간을 2025년 10월에서 2026년 9월로 11개월 연장한다고 24일 밝혔다. 또 토지이용계획도 일부 변경했다.
제주동중학교 북쪽 21만6920㎡ 일대에 추진하는 이 사업은 2019년 9월 30일 기반시설 공사에 착공해 현재 76.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개발사업지구 내 주상복합용지(체비지) 매각 절차가 답보 상태로 발목을 잡고 있다. 1만9432㎡의 주상복합용지는 2021년 12월 공개입찰에서 한 사업자가 2660억원에 낙찰받았지만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4차례 기간 연장에도 잔금 532억원을 미납해 2024년 2월 매매계약이 해제됐다. 그 후 2024년 3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재매각 공고에 나섰지만 총 9차례 유찰됐다. 그 후 2024년 3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재매각 공고에도 9차례 유찰되는 등 총 15차례 유찰됐다. 잇단 유찰에 시는 790억원에 수의계약할 업체를 오는 연말까지 찾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번에 토지이용계획이 변경된 내용은 ▷공원용지에 도시계획시설 주차장 중복결정 반영 ▷상수도 공급을 위한 신설 관로 설치 ▷오수 중계펌프장 설치 및 연계 처리 체계 개선 ▷원활한 우수 처리를 위한 우수 박스 변경 설치 ▷교통 여건 개선을 위한 차로 폭·차로 수 조정 및 교통영향평가 결과 반영 등이다.
이같은 설계 및 기반시설 보완에 따라 공사비, 조사설계비, 보상비, 금융비 등이 추가 반영돼 총사업비는 898억원에서 1342억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홍경효 도시건설국장은 "철저한 공정관리와 확정 측량을 병행 추진하고, 보상협의 지연 부분은 손실보상 재결 신청 등 가능한 모든 행정절차를 신속 진행해 사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라며 "현재 환지예정지 내에 준공 전 건축허가 등의 토지사용 또한 가능한 상황으로 인허가 신청 시 적극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제주동중학교 북쪽 21만6920㎡ 일대에 추진하는 이 사업은 2019년 9월 30일 기반시설 공사에 착공해 현재 76.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개발사업지구 내 주상복합용지(체비지) 매각 절차가 답보 상태로 발목을 잡고 있다. 1만9432㎡의 주상복합용지는 2021년 12월 공개입찰에서 한 사업자가 2660억원에 낙찰받았지만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4차례 기간 연장에도 잔금 532억원을 미납해 2024년 2월 매매계약이 해제됐다. 그 후 2024년 3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재매각 공고에 나섰지만 총 9차례 유찰됐다. 그 후 2024년 3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재매각 공고에도 9차례 유찰되는 등 총 15차례 유찰됐다. 잇단 유찰에 시는 790억원에 수의계약할 업체를 오는 연말까지 찾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번에 토지이용계획이 변경된 내용은 ▷공원용지에 도시계획시설 주차장 중복결정 반영 ▷상수도 공급을 위한 신설 관로 설치 ▷오수 중계펌프장 설치 및 연계 처리 체계 개선 ▷원활한 우수 처리를 위한 우수 박스 변경 설치 ▷교통 여건 개선을 위한 차로 폭·차로 수 조정 및 교통영향평가 결과 반영 등이다.
이같은 설계 및 기반시설 보완에 따라 공사비, 조사설계비, 보상비, 금융비 등이 추가 반영돼 총사업비는 898억원에서 1342억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홍경효 도시건설국장은 "철저한 공정관리와 확정 측량을 병행 추진하고, 보상협의 지연 부분은 손실보상 재결 신청 등 가능한 모든 행정절차를 신속 진행해 사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라며 "현재 환지예정지 내에 준공 전 건축허가 등의 토지사용 또한 가능한 상황으로 인허가 신청 시 적극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