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나무심기 실효 확보 위해 우선순위 가려야
입력 : 2025. 02. 04(화) 02:00
[한라일보] 기후위기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가 대대적인 나무심기에 나서고 있다. 숲 조성을 통해 기후위기에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각종 개발행위로 인해 산림녹지공간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적절한 정책으로 평가된다.

제주도는 나무심기 5개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22년부터 2026년까지 600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대형 프로젝트다. 나무심기 3년 차인 지난해는 227억원을 투입해 137만4766그루를 심었다. 목표치를 초과달성했다. 제주도가 목표량인 7000그루보다 많은 2만3317그루를 심었다. 또 제주시는 목표량 52만9000그루보다 많은 67만6212그루를 식재했다. 서귀포시도 67만5237그루를 심어 목표량 66만4000그루를 넘어섰다. 나무심기를 통해 도시숲과 공원을 확장함으로써 연간 승용차 7224대 배출량에 맞먹는 이산화탄소 1만7338t을 흡수하고 열섬 현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거뒀다. 문제는 나무심기 핵심사업인 도시숲 조성이 목표치를 크게 밑돌았다는 데 있다. 도시바람길숲, 생활밀착형숲, 기후대응도시 숲, 나무숲 조성 등 도시숲의 핵심사업이 부실했다. 도시민들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사업들이다. 공익조림사업도 목표치에 미달해 한계를 보였다.

기후위기의 일상화속에서 나무심기 효과가 지대하다는 건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제주도의 나무심기 프로젝트를 폄훼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우선순위를 가려 당초 사업의 취지에 맞게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 사후관리도 중요하다. 나무가 건강하게 자라 숲이 조성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099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