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시대 발맞춘 제주 콘텐츠산업 활성화 전략 수립 본격
입력 : 2024. 06. 10(월) 17:43수정 : 2024. 06. 10(월) 19:09
오은지기자 ejoh@ihalla.com
가가
제주도, 2025~2029 문화콘텐츠 및 영상산업 진흥계획 수립 추진
10일 용역 착수보고회... '제주형 K-콘텐츠 산업화' 밑그림 주목
10일 용역 착수보고회... '제주형 K-콘텐츠 산업화' 밑그림 주목

10일 제주문학관에서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콘텐츠 및 영상산업 진흥계획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가 열렸다.
[한라일보]제주특별자치도가 급변하는 콘텐츠 산업의 성장과 정책 환경 변화에 맞춰 경쟁력 제고를 위한 새로운 제주 문화콘텐츠 및 영상 산업 진흥 계획 수립에 나섰다. 특히 민선 8기 오영훈 제주도정의 문화부문 공약인 '제주형 K-콘텐츠 산업화' 이행을 위한 밑그림도 그려질 예정이어서 관심이 쏠린다.
10일 제주문학관에서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콘텐츠 및 영상산업 진흥계획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가 열렸다.
'제주도 문화콘텐츠산업 진흥 조례'와 '제주도 영상산업육성조례'에 근거한 법정계획 수립을 위한 이번 연구용역에서 용역진은 향후 5개년(2025~2029) 중장기 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용역은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맡았다.
이날 용역진은 제주 문화콘텐츠 및 영상산업 SWOT 분석을 통해 강점(Strength)으로 ▷다양한 콘텐츠 창작에 기반이 되는 제주 신화 소재 문화 원형 보유 등을, 약점(Weakness)으로 도내 인프라 및 제작 여건 기반 부족과 관련 지역기업 인력 및 경쟁력 취약 등을, 기회(Opportunity)로 중앙정부의 문화산업육성 시책 등을, 그리고 위협(Threat)으로 도외/해외 콘텐츠산업과의 치열한 경쟁과 초기 투자비용 부담 등을 꼽았다.
용역진이 이날 발표한 수행계획서에는 본격 연구에 앞서 구상한 '문화콘텐츠산업'과 '영상산업' 두 개의 진흥 기본계획의 비전·목표·전략·사업 추진(안)도 담겼다.
용역진은 '문화콘텐츠산업진흥 기본계획' 비전(안)으로 '제주의 가치를 만들어 자생력을 갖춘 K-콘텐츠 중심지 조성', '영상산업진흥 기본계획' 비전(안)으로 '제주형 콘텐츠와 융합을 통한 영상산업 중심지 조성'을 제시했다.
사업(안) 중엔 ▷콘텐츠 관련 기관 유치 ▷제주영화제 개최 ▷버추얼 스튜디오 조성 ▷영상연관기업 도내 유치 등이 포함됐으며, 제주형 K-콘텐츠 문화산업진흥지구 조성(안)에 대한 부분도 담겼다.
용역진은 문화콘텐츠 3개 분과(▷1분과 캐릭터·애니메이션·음악 ▷2분과 게임·출판·만화(웹툰) ▷3분과 콘텐츠솔루션·지식정보)와 영상콘텐츠 1개 분과(영화·방송) 등 총 4개 분과로 구분해 업무를 분장하고 연구진을 구성해 용역을 수행할 계획이다.
8000만원이 투입되는 용역은 오는 11월 완료될 예정이다.
'제주도 문화콘텐츠산업 진흥 조례'와 '제주도 영상산업육성조례'에 근거한 법정계획 수립을 위한 이번 연구용역에서 용역진은 향후 5개년(2025~2029) 중장기 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용역은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맡았다.
이날 용역진은 제주 문화콘텐츠 및 영상산업 SWOT 분석을 통해 강점(Strength)으로 ▷다양한 콘텐츠 창작에 기반이 되는 제주 신화 소재 문화 원형 보유 등을, 약점(Weakness)으로 도내 인프라 및 제작 여건 기반 부족과 관련 지역기업 인력 및 경쟁력 취약 등을, 기회(Opportunity)로 중앙정부의 문화산업육성 시책 등을, 그리고 위협(Threat)으로 도외/해외 콘텐츠산업과의 치열한 경쟁과 초기 투자비용 부담 등을 꼽았다.
용역진이 이날 발표한 수행계획서에는 본격 연구에 앞서 구상한 '문화콘텐츠산업'과 '영상산업' 두 개의 진흥 기본계획의 비전·목표·전략·사업 추진(안)도 담겼다.
용역진은 '문화콘텐츠산업진흥 기본계획' 비전(안)으로 '제주의 가치를 만들어 자생력을 갖춘 K-콘텐츠 중심지 조성', '영상산업진흥 기본계획' 비전(안)으로 '제주형 콘텐츠와 융합을 통한 영상산업 중심지 조성'을 제시했다.
사업(안) 중엔 ▷콘텐츠 관련 기관 유치 ▷제주영화제 개최 ▷버추얼 스튜디오 조성 ▷영상연관기업 도내 유치 등이 포함됐으며, 제주형 K-콘텐츠 문화산업진흥지구 조성(안)에 대한 부분도 담겼다.
용역진은 문화콘텐츠 3개 분과(▷1분과 캐릭터·애니메이션·음악 ▷2분과 게임·출판·만화(웹툰) ▷3분과 콘텐츠솔루션·지식정보)와 영상콘텐츠 1개 분과(영화·방송) 등 총 4개 분과로 구분해 업무를 분장하고 연구진을 구성해 용역을 수행할 계획이다.
8000만원이 투입되는 용역은 오는 11월 완료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