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지원해도 적자… 제주관광공사 뭇매
입력 : 2025. 11. 21(금) 18:00수정 : 2025. 11. 21(금) 22:35
이상민기자 hasm@ihalla.com
강철남·김대진 의원 과도한 대행업무에 적자 질타
관광교류국 일반회계 감소에 "도민 기만하는 일"
[한라일보] 제주관광공사가 매년 제주도로부터 공기관대행사업비와 같은 간접 수익을 포함해 운영비와 인건비를 받고 있음에도 만성 적자 구조에 시달리는 것에 대한 비판이 도의회에서 잇따라 나왔다.

21일 열린 제주도의회 제444회 정례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제2차 회의에서 강철남 의원(더불어민주당, 연동 을)은 “수익은 별로 없는데 사업은 과도하게 몰려 있어 제주관광공사도 딜레마일 것”이라며 “관광 마케팅과 같은 본업에 집중하기도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했다.

이어 “노형오거리 부지 매각 수익도 이런 적자를 메우기 위한 ‘비상금’으로 쓰이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고 꼬집었다.

강 의원에 따르면 제주도 관광교류국이 내년에 공기관에 맡겨 시행하는 대행사업은 78건에 사업비는 232억원으로 이중 대다수를 제주관광공사가 수행한다.

또 관광공사는 매년 운영비와 인건비 명목으로 70억원을 지원 받고 있다. 그러나 제주관광공사는 이같은 지원에도 면세점 수익 악화로 인한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김대진 의원(더불어민주당, 동홍동)도 비판에 가세했다.

김 의원은 “면세점 특허권이라는 엄청난 메리트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자 운영이라는 점이 가장 심각한 문제”라며 "매년 제주도 예산으로 (관광공사) 재정을 메우고 있는 구조는 납득하기 어렵다. 이럴 거면 특허권이 무슨 의미냐”고 비판했다.

또 김 의원은 “관광교류국 예산 상당 부분이 공사로 전출되면서 정책 예산이 왜곡되고 있다"며 "지금처럼 공공업무는 넘치고 수익은 나지 않는 구조라면, 도민 부담만 커질 뿐"이라고 꼬집었다.

이날 회의에선 관광교류국 예산이 매년 감소하는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제주도 전체 예산 대비 관광교류국 일반회계 예산 비중은 지난 2024년 0.73%에서 2026년 0.48%로 줄었고 총액도 2025년 552억원에서 내년 373억원으로 178억원 감소했다.

박두화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도민 10명 중 3명이 관광산업에 종사하고, 관광이 제주 경제의 뿌리인데, 예산 비중이 0.48%에 불과한 것은 도민을 기만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고태민 의원(국민의힘, 애월읍 갑)도 "예산이라는 것은 민선 도정의 철학과 의지를 보여주는 거울인데, 이대로 가면 도정이 관광을 경시하는 것처럼 비칠 수밖에 없다"고 질타했다.











■한라일보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192 왼쪽숫자 입력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
정치/행정 주요기사더보기

기사 목록

한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